IMF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을 중심으로 과시적 소비가 번지면서 이들 계층의 저축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산층의 저축률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으며 저소득층은 지난해부터 아예 가계부가 적자로 돌아서 저축은 커녕 빚에 의지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하반기들어 경기상승세가 눈에 띄게 둔화되면서 이들 중산층 이하 도시근로자 가정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힘겨워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외환위기 이후의 저축률 추이와 시사점’에 관한 보고서에서 97년에 33.4%이던 국민총저축률이 98년 34.0%, 99년 33.7%, 올 상반기에는 32.1%로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득계층별로는 중간소득층이 외환위기 이전인 97년 27.3%에서 올 상반기에는 16.1%로 뚝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의 저축률은 같은기간 9.1%에서 -3.0%로 추락, 저축은 한푼도 하지 못한채 빚에 의지해 살고 있는 양상인데 반해 고소득층은 37.5%에서 33.2%로 조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산업생산 호조로 경기가 풀리면서 고소득층은 물론 중산층의 씀씀이가 헤퍼지기 시작해 작년 한해 고소득층은 14%, 중산층은 13.7%의 높은 소비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올 상반기엔 중산층의 소비증가율이 13.3%로 나타나 12%인 고소득층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의 소비행태를 보면 필수적 소비인 식료품·주거비·광열비 보다는 통신·교양·오락비 등 선택적 소비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소득이 외환위기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상황에서 고소득층의 과시적 소비행태가 중산층에게도 일부 전염됐기 때문이라는게 한은 분석이다.
중산층이 과소비로 인해 저축률이 떨어진 반면 저소득층은 외환위기 이후 소득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의 저축률을 보년 97년 9.1%, 외환위기 직후인 98년엔 3.7%로 가계수지가 흑자를 기록했지만 작년부터 적자로 반전, 저축은 커녕 빚에 의존해 가계를 꾸려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기업·정부 부문의 저축을 합한 국민총저축률도 1988년 40.5%로 최고를 기록한 이후 계속 하락해 오다 외환위기의 충격으로 소비가 극도로 위축됐던 98년에만 반짝 상승(97년 33.4%, 98년 34%)했을 뿐 올 상반기에는 32.1%로 다시 떨어졌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