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車 파장 최소화해야

대우자동차가 끝내 최종 부도처리됐다. 지난 6일 1차 부도 이후 채권단이 자금지원 전제조건으로 요구한 구조조정안에 대한 노조동의서를 노조측이 거부함으로써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중단되고 앞으로 법정관리절차를 밟게 됐다. 인천 경기지역 등 협력업체의 연쇄도산과 대량실직, 그리고 제너럴 모터스(GM)와 진행중인 매각협상이 차질을 빚는 등 부도에 따른 경제적 파장을 크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채권단이 부도를 감수하면서까지 3천500명 감축 구조조정안에 대한 노조동의서를 요구한 것은 더 이상 구조조정을 미룰 수 없다는 절박감에서 불가피했다고 볼 수 있다. 부실기업에 돈을 쏟아 부어 은행부실을 초래하고 결국 국민부담으로 조성된 공적자금까지 축나게 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기업개선작업을 과감하게 추진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도 대우차가 지난해 8월 워크아웃에 들어간 이후 1년여 동안 구조조정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부실화의 길을 걸어온 것은 기업개선작업을 게을리한 채권단과 비협조적인 노조측 모두의 책임이 크다. 워크아웃 기간중 정리된 인원은 전체 종업원 1만7천987명 가운데 고작 1천486명뿐이었다.

또 영업실적은 올 상반기에만 1조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자산은 17조7천835억원인데 비해 부채는 18조2천267억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 있다. 기업개선작업 기회를 주었는데도 구조조정을 제대로 하지 않아 이같이 부실이 심화된 기업을 끌어안고 경제가 회복되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이제 채권단등 관계당국은 법정관리가 확정될 때까지 당장 대우자동차의 가동 중단사태를 막고 협력업체의 연쇄도산위기를 차단하며, 도산 협력업체에 대한 업종전환지원 등 충격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보완책을 서둘러야 한다. 법정관리가 되면 대우차에 대한 채권·채무가 동결돼 당장 1만여개의 협력업체가 자금난에 빠지고 이에 딸린 종사원 50여만명이 실직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이중 현대·기아차에 공동납품하는 대형업체를 제외하면 대우차에만 납품하는 업체들은 살아남기 어려운 상황이다.

협력업체에 대한 자금지원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면 자칫 일시적 자금난으로 건실한 협력업체가 도산, 대량실업으로 이어지고 납품을 못하게 되면 대우차 가동에 차질이 빚어질 공산이 크다.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대책을 강구하고 부품생산을 독려해야 한다. 노조 또한 앞으로 노사가 함께 살아남고 빨리 회생할 수 있는 방안모색에 적극 협력함으로써 ‘청산’의 길을 밟는 최악의 상황은 막아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