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 땜질충원 이제 그만

내년에도 초등교원 수급차질이 또 우려되고 있다. 지난 8일 경기 인천교육청이 마감한 초등교사 공개채용시험 원서접수 결과 경기 714명(모집정원 2천명), 인천 43명(모집정원 700명)이 각각 모집정원에 미달됐다. 이에따라 교육당국은 앞으로 부족한 초등교사를 메우기 위해 교과전담교사(기간제교사)의 배치가 불가피해졌다.

지난해에도 2천200여명(경기 1천744명·인천 510명)이 부족해 교과전담교사로 충원한 바 있는 경기 인천교육계에 이처럼 초등교원 부족현상이 고질화되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다. 초등교원의 이같은 수급난조는 인구증가로 교원수요가 계속 늘고 있는터에 지난 98년 교원정년 단축으로 해당교사가 대거 사직한데다 예기치 못했던 명예퇴직자의 대량속출로 비롯된 부족사태의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족인력의 누증으로 초등교원의 내년 전국 수요인력이 8천명인데 비해 교대졸업생은 4천명에 불과하니 절대인원이 부족한 것이다. 중등교원이 사범대와 일반대 교직과목 이수자를 포함해 실제 수요의 4∼5배 가량 양산되는 것과 달리 초등교원은 평상시 수요에 거의 비례해 교대에서 양성하고 있으므로 정년단축 때처럼 대량 결원이 생기면 특단의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런데도 교육당국이 그동안 소극적으로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었으니 한심한 일이다. 교과전담교사의 부작용은 이미 교육현장에서 드러난 바 있다. 2년전 초등교원 대량사직으로 다급해진 교육부가 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에게 2개월의 단기교육을 실시, 기간제교사로 채용한 것은 땜질식 충원에 불과했다. 초등학생의 발달수준에 맞는 교수방법을 제대로 교육받지 않은 교사들이 배치된 결과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기존교사들과의 마찰도 생겼다.

이러함에도 교육당국이 전담교사를 대량 채용할 수 밖에 없게된 것은 무계획적 행정의 소치다. 특히 경기도는 초등학생 증가율이 전국 6.5%의 두배가 넘는 15%에 이르러 교원수요도 매년 2천명에 달해 짜집기식 결원보충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이런데도 당국이 수도권집중억제를 이유로 경기교대 설립을 불허하고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신도시 개발로 서울인구를 유입시켜 교육수요를 늘려 놓고도 교대설립을 못하게

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다. 만성화된 교원부족사태를 해결하고 계속 늘어나는 교원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선 도내에 교대를 설립하는 일이 급선무다. 교원의 안정적 수급과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당국의 숙고가 있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