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기업퇴출에 이은 대우자동차의 최종부도 충격으로 경기 인천 지방경제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특히 최종부도 하루만에 가동중단된 대우차 부평공장과 협력업체들이 몰려있는 인천경제는 파산직전의 빈사상태에서 신음하고 있다.
경제계는 인천지역 실업률이 7월 3.9%에서 10월 4.7%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대우차 협력업체 종사자들이 대거 일자리를 잃게되면 10%선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어음부도율도 9월 0.26%에서 10월 0.43%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1∼3차 협력업체들의 도산을 감안하면 1%선을 훌쩍 넘을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도 하고 있다.
그밖에 인천경제의 심각성은 산업현장 곳곳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98년 경기은행 퇴출로 금융산업구조가 취약해져 자금난을 극복못한 중소기업의 부도사태가 속출한 데 이어 올해는 13개의 신용금고 중 6곳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아 서민금융권이 붕괴되면서 예비공황상태를 맞고 있다. 환란이후 대형건설업체들은 도산 또는 법정관리상태에 있고 1천400여 전문건설업체들은 하도급 공사대금으로 받은 진성어음을 은행에서 할인해주지 않아 극심한 자금경색에 빠져 있다.
대우차 부평공장도 협력업체들이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것을 요구하며 부품공급을 중단, 3일간 휴업에 들어갔으나 협력업체의 현금결제요구가 확산될 전망이어서 언제 재가동하게 될지 모를 상황이다. 대우차의 주력수출기지였던 인천항만업계도 심각한 자금난에 봉착했다.
국민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경제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지방경제 전체가 최악의 고통속에 신음하고 있지만 특히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어느 지방도시보다 큰 인천지역 경제가 회생불능 상태라면 결코 가볍게 보아 넘겨서는 안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경제 회생을 위한 장단기 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한다. 우선 대우차가 재가동할 수 있게 협력업체들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사태는 긴박하다. 부품업체 소지 진성어음의 새어음 교환·협력업체의 운영자금 지원·신용보증기관의 보증한도 상향 등 정부가 내놓은 방안들을 즉각 실행하지 않으면 상황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될 것이다.
실직자들의 재취업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실시 등 효율적인 고용 안정 방안을 강구해야 함은 물론 도산업체에 대한 업종전환과 창업을 지원할 새로운 산업재건 프로그램도 마련해야 한다. 당국은 이밖에 금융 건설 등 취약해진 산업전반에 대한 회생책도 마련, 실천에 옮기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