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지난 10년 동안 4곳에 택지를 개발하면서 총 1천323억원을 벌어 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시영아파트 건설 사업에서도 총 투자액 1천360억7천만원의 5.9%에 해당하는 80억3천여만원의 이득을 낼 것으로 분석돼 일각에서는 영세민을 상대로 남기기 사업을 했다는 지적이다.
10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90년 부터 성사, 행신, 탄현1·2 등 4개 택지지구를 개발하고 성사, 행신지구 등 2곳에 시영아파트 2천947가구를 지어 분양 또는 임대했다.
이에대해 시가 최근 사업수지를 분석한 결과 택지개발 및 시영아파트 건립에 총 6천289억9천만원을 투자하여 지난달 말 현재 이미 투자비 보다 95억8천만원을 더 회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탄현2지구 부지 매각 등으로 1천227억6천여만원의 수입을 더 올릴수 있어 총 수익금은 1천323억6천만원으로, 수익률이 투자비 총액 6천289억9천만원의 21%에 이를 전망이다.
이같은 수익률은 한국토지공사나 대한주택공사 등 공기업이 택지지구를 개발하면서 올리는 -5∼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다.
택지개발의 경우 시는 총 4천929억1천여 만원을 투자해 지난달 말 현재 5천88억7천여만원을 벌어들였으며 향후 1천83억7천여만원의 수입이 예상돼 총 투자액의 25.2%에 해당하는 1천243억3천만원의 흑자가 전망된다.
토공 관계자는 “절대 비교는 어렵지만 공기업도 사업이 잘 되던 90년대 평균 10%가 조금 넘는 수익률을 올렸고 최근에는 손해를 보는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시 관계자는 “투자비용의 이자 수익 등 기회 비용과 공무원 인건비 등이 비용으로 포함되지 않아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날 뿐 실제 수익은 10% 안팎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