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계개편설이 민주당 발화, 청와대 진화, 김종필 침묵속에 갖가지 설이 난무하고 있다. 한나라당 민주계(김덕룡), 한국신당(김용환), 민국당(김윤환) 등을 포함한 신당 창당설과 개헌설이 나오는 판이다. 심지어는 3김연합설에 김대중명예총재, 김종필총재체제의 신당구도까지 흘러나온다.
김대중대통령의 다수당 염원은 오랜 터여서 전혀 근거가 없다고는 믿지 않는다. 다만 방법과 시기만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또 김종필씨 역시 합당 조건만 맞으면 당내 반대세력에도 불구하고 자민련 간판을 내릴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 또한 값올리기 눈치만 살피고 있다.
민주당이 자민련 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국회법개정에 야당을 빙자해 소극적이었던 것도 합당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저의가 깔린 것으로 보아져와 여당의 합당 또는 신당창당설은 인정할만한 충분한 배경이 있다. 김대중대통령의 이같은 구상은 집권후반기를 다수여당으로 이끌어 국정에 안정을 기한다는 것이 명분일 것으로 안다. 그러나 정권편의에 의한 인위적 정계개편은 국민의 눈엔 순전히 정상배적 정략으로 비쳐 심히
거부감을 갖게 한다. 지난 4·13 총선 민의에 배치되고 인위적 정계개편을 하지 않기로 다짐한 여·야 총재회담 합의사항 파기이기도 하다.
민주당 정권이 소수여당의 한계를 의석 숫자 놀음으로만 극복하려한 것이 크게 보면 오늘의 국정난맥과 경제위기를 불러들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호 정략적 이합집산의 합당이나 신당창당을 한다하여도 역리로 만든 다수여당은 결코 순탄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객관적 판단이다. 차라리 지금의 민주당보다 못할 공산이 다분하다. 김대중대통령은 재야시절에도 숱한 당을 깨고 만들곤 하였다. 집권한 뒤에도 국민회의를 해체하고 민주당을 만들었으면서 또 민주당을 깨고 신당을 만든다면 창당꾼 같은 부정적 이미지를 국민에게 주기 십상이다.
소수 여당이어서 일을 못한다는 것은 독선을 합리화 하려드는 어거지밖에 안된다. 소수 여당 일수록이 정도로 가는 것이 순리다. 그래야 국민의 지지를 받고 국민의 지지를 얻어야 다수 야당을 설복시켜 협조를 얻을 수가 있다. 김대중정권이 과연 이같은 순리에 충실했는지 겸허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 오늘의 경제위기타개, 집권후반의 안정 또한 여기에 있는 사실을 명심해야 하는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