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이 우리나라 3대 국제항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정부는 민간유치로 계획했던 평택항 건설사업을 직접 투자, 개발하는 방향으로 선회해 각종 대규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평택항 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는 지금의 평택항은 국제항구로서의 대변신이 예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대규모 사업을 목전에 두고 평택에 맞는 국제항으로서 환경친화적 개발을 유도, 명실상부한 국제항을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할 주민들이 각기 저마다의 목소리를 높이며 기득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어 아쉬움을 갖게 하고 있다.
지난달 8일 평택시민들이 주축이 돼 ‘평택항 활성화를 위한 평택항 발전협의회’가 주민 50여명이 주축이 돼 발기인대회를 갖고 태동한 가운데 지난 5일에는 ‘서해안 발전전략연구소가, 7일에는 서부 5개면 30여 주민이 주축이 된 ‘평택항발전협의회’가 발기인 대회를 갖고 구 평택시 인사와 구 송탄시 주민들의 참가를 독려하고 있다.
이들 모두의 주요 골자는 평택항 활성화와 평택에 맞는 평택항 개발을 위한 단체라는데 명분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우후죽순 태동되는 각 단체를 지켜보는 주민들은 무슨 생각을 갖고 있을지, 또 평택항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나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자못 궁금하다.
주민들이 단합해 정부와 해양수산부 등에 당면한 각종 현안 문제점을 제시하고 대책을 요구해도 어려운 난제가 부지기수인데다 이제 시작에 불과한 현 시점에서 벌써부터 기득권 싸움을 하는양 비쳐진다면 이는 평택에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각자 사심을 버리고 거국적 차원에서 진실된 평택항 발전을 위한 단합을 기대해본다.
/최해영기자 <제2사회부 평택> hychoi@kgib.co.kr 제2사회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