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부진 및 수출둔화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경기·인천지역의 산업활동이 크게 위축된것으로 나타나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구랍 29일 통계청 경기·인천통계사무소가 발표한 지난해 11월중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경기지역의 산업생산은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운송장비, 가구 및 기타 제조업종 등의 부진으로 전월에 비해 0.5% 감소했다.
생산자 제품출하도 2.4% 감소해 지난해 9월 -7.2%, 10월 -2.3%에 이어 3개월째 감소세가 지속됐고 제품재고는 전월과 같은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전년동월에 비해서는 무려 34.1%가 증가했다.
소비를 나타내는 대형소매점의 매출은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백화점 및 대형할인점의 매출이 부진, 전월보다 100억원이 감소한 4천937억원의 판매액을 기록했다.
인천지역의 산업생산과 생산자 제품출하도 석유정제업, 기타 전기기계, 화합물 및 화학제품의 부진으로 전월에 비해 각각 5.8%, 9.5% 감소해 지난해 9월이후 3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이에 반해 지난달 5.0% 증가했던 생산자 제품재고는 2.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발주동향은 경기지역이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의 발주가 다소 증가해 전월에 비해 48.1% 증가한 반면 인천지역은 공공부분의 발주 감소가 지속돼 전월보다 45.4% 감소했다.
건축허가면적은 경기지역이 178만9천㎡로 전년동월에 비해 52.9% 줄어들었으며 인천은 18만8천743㎡로 전년동월에 비해 66.1%가 감소했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