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까지 건설업 실업자 수가 38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실직 건설근로자가 급증하고 있어 건설투자 확대 등 고용창출 대책이 조속히 시행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사회불안을 불러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10일 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산업동향에 따르면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일자리를 잃은 건설근로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1월 이후 2차 구조조정으로 관리대상 112개 건설업체의 상시종업원 3만여명이 잠재실업에 빠져 1월말 34만1천명, 내달에는 38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같은 건설근로자의 실직증가는 숙련노동력의 기술수준 퇴화를 불러와 국내 건설업 생산기반을 약화시키고 노숙자 양산 등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킬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또 건설실업자의 82%가 저소득층의 기능인력으로 이들 대부분이 사회적 최빈층인 노숙자로 전락하기 직전인 상태에 있어 건설업 실업대책은 노숙자 양산을 예방하는 사회안전망 확보라는 차원에서 추진돼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특히 다른 산업과 달리 건설업 취업자 수는 건설투자의 증감에 따라 95%가 결정되는 등 건설투자 규모와 실직자 수가 직결된다는 점에서 실직근로자들을 건설현장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단기적 건설투자 확대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와관련 건산연 심규범 박사(36)는 “건설투자의 경우 1조원의 투자로 기능직 1만3천명, 기술직 1천870명, 사무관리직 1천590명 등의 직접 고용창출과 함께 1만5천480명의 타산업 간접고용을 유발할 수 있는 등 고용창출 효과가 커 단기건설투자의 확대에 정부가 우선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