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29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경제 부총리에 진 념 재경부 장관을 승격 임명하고, 교육부총리에 한완상 상지대 총장을 발탁한 것은 개혁노선의 일관성을 중시하면서 내각에 새로운 바람도 불어넣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진 장관의 부총리 승격 임명은 일찌감치 예정됐다는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개혁 추진의 총괄 책임을 맡고 있는 진 장관을 교체하는 것은 전장에 나가있는 장수를 교체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 김 대통령의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은 “진 신임 부총리는 그동안 일관되게 개혁정책을 추진해 왔고, 그동안 일을 잘 해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면서 “또 2월말까지 4대개혁의 기본틀을 마무리하고 구조조정을 매듭짓는 등 경제개혁 정책을 이끌어가야 한다”고 부총리 승격 배경을 설명했다.
당 일각에서 진 장관의 교체를 강력히 건의해 온데다 지난 22일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 불참하면서 교체설이 불거지기도 했지만 김 대통령의 승격 의지가 확고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장관에게 1개월여 남은 구조조정 마무리의 부담을 지우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교체설이 수그러들었다는 후문이다.
다만 내달 말 또는 3월초께로 예상되는 대폭 개각에서는 경제팀이 대폭 교체될 가능성이 높아 진 신임 부총리도 예외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교육 부총리의 교체는 이돈희교육부 장관이 그동안 대과없이 일을 해왔고, 당초 정부조직법 개정을 예상해 부총리감으로 임명됐기 때문에 승진이 유력하게 점쳐져 왔다는 점에서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한완상 신임 부총리가 김영삼 전 대통령 정부하에서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을 지낸 인물이라는 점에서 ‘파격성’이 무게를 더하고 있다.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른 인사가 마무리됨으로써 김 대통령은 행정부의 팀별(경제·외교안보·인적자원·사회) 운영을 위한 제도적 틀을 일단 갖추고 내달말까지로 예정된 4대개혁 추진을 더욱 강도높게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개혁작업 마무리와 김 대통령 취임 3주년을 전후한 시점에서 집권후반기를 이끌어갈 내각의 재정비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이때의 개각은 국정쇄신 차원에서 조각에 버금가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