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는 도시와 농촌간 정보화 격차를 조기에 해소하기 위해 올해 정보화교육 대상인원을 대폭 늘리고 교육방법도 획기적으로 개선키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교육대상자는 지난해 3만3천명보다 2배 이상 늘어난 7만5천명으로 늘리고 2002년까지 17만명을 대상으로 정보화교육을 조기에 마무리 짓는다.
교육장소도 139개 시·군에서 1천574개 읍·면·동으로 확대해 농민들이 쉽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교육방법도 획기적으로 개선, 농림수산정보센터에서 중앙집합교육으로 실시하던 전문교육을 전국 10개 농과대학과 농업연수부에서 분산해 실시하기로 했다.
또 농업인이 영농에 불편이 없도록 하기 위해 교육수요가 많은 농업정보119서비스 및 이동버스정보화교육을 개선해 수준과 형편에 맞는 눈높이 교육이 되도록 개선했다.
농업정보서비스교육은 농과대학의 119서비스요원이 컴퓨터활용에 관한 서비스를 희망하는 농가를 직접 방문해 교육을 하는 것이며 이동버스정보화교육은 교육장비를 탑재한 정보화교육버스가 농촌마을을 직접 찾아가서 정보화교육을 하는 것이다.
또 올 상반기중에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시스템을 구축해 정보화교육 이수자에게 반복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e-mail 및 DM발송을 통해 교육효과나 관련정보를 수시로 제공하는 등 정보화 교육이수자에 대한 사후관리도 철저히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보화교육을 원하는 농업인은 인터넷을 통해 ‘농업인 정보화교육 홈페이지’(http://edu.affis.net)에 접속, 교육과정과 시행기관별 교육일정을 보고 희망하는 사항을 신청하면 된다.
농림부의 관계자는 “정보화교육을 통해 농업인도 농업경영 S/W를 활용한 정보화를 통해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농산물 전자직거래를 추진하는 계기를 마련해 농산물 유통개혁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외국의 농업·농촌정보화 대응사례
▲미국 = 93년부터 정보화 분야에 집중투자해 정보고속도로 구축 등 국가의 기본정책 방향을 제시, 99년 2월 대통령 정보기술자문위원회는 정보 인프라 조기 확충 등을 위해 연방정부가 향후 5년간 연구개발 예산을 2배 증액할 것을 권고했다.
▲영국 = 96년 국가 전략으로서의 정보사회건설을 발표하고 전자정부구현, 기업정보화 프로그램, 국민의 지식·정보이용능력 향상 등을 중점 추진, 디지털 경제촉진을 위한 정보 인프라 조기구축, 정보통신기술 이용지원프로그램추진 등을 위해 총14억파운드 추가 투자했다.
▲일본 = 98년 11월 인터넷의 보급확대, 전자상거래의 실용화 등에 정부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도정보통신사회 추진을 위한 기본방침’을 제정해 정보통신 인프라의 기반정비, 인재육성 및 정보화교육, 공공분야의 정보화, 전자상거래 등을 추진하고 도시와 농촌간의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농어촌의 고도 정보기반 정비, 인터넷 제공 정보의 확충, 농림수산 관계 정보 이용환경 정비 등을 추진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