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0만평 시대
용인시 수지 아파트단지에 사는 A씨는 시장이 누구인지 모른다. 시·도의원이 누구인지도 모른다. 지방선거에 나가 투표한 적이 없다. 굳이 누가 누구인지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그럴 필요가 있다고 믿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국회의원 선거는 투표했지만 사람은 역시 잘 모르므로 소속 정당만 보고 투표했다.
A씨 뿐만이 아니다. 많은 아파트 주민들이 대개는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 수지뿐만이 아니다. 수원 시내에 빽빽히 들어선 신규아파트를 비롯, 도내 대단위 아파트 주민들이 거의 비슷하다. 살기는 도내에 살지만 생활은 도외에서 한다. 대부분은 서울이 생활권이다. 아침 일찍 나가고 저녁 늦게 집에 돌아오곤 한다. 가장들만이 그런 것이 아니다. 부인네들도 그렇고 고등학교나 대학다니는 아이들도 서울인 경우가 많다.
경기도 집은 이를테면 잠만 자는 곳이다. 지역사회에 대한 이들의 무관심은 어쩜 자연현상일 수 있다. 생활권에서 겪는 일만으로도 골치아픈 판에 가정에까지 돌아와 머릴 썩히고 싶지 않은 것이다. 하나, 경기도 인구의 베드타운화는 실로 큰 부작용을 낳고 있다. 지역사회의 소속감을 근간으로 하는 지방자치 발전의 저해요인이 된다. 행정수요 유발도 큰 문제다. 이들이 내는 취득세 재산세 주민세 자동차세 같은 지방세 세입보다 몇배 더 높은 쓰레기처리 상·하수도 등 환경비 교통시설비 경상비 등이 나간다.
이렇긴 하지만 베드타운 인구도 경기도 도민이긴 마찬가지다. 자치단체마다 이젠 유입인구가 지역사회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특별 프로그램개발이 요청된다. 지역사회에 정을 붙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것이다. 경기도 인구가 작년말 현재 928만13만명으로 1천만명을 내다본다는 보도가 있었다. 서울 인구의 역류로 서울은 감소, 경기도는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정부의 수도권 인구증가 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도내 인구는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고집만 하지 말고 탄력성있는 개정으로 1천만명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정책이 아닌가 생각한다. 인구증가가 물론 반가운 현상은 아니긴 하나 1천명시대예고는 여러가지로 시사하는 의미가 많다.
/白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