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중소기업들이 해외 규격·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매년 전국 최고의 신청률을 기록하고 있으나 지원받는 업체는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어 수혜폭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해외 규격·인증이 없어 수출에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107억원의 예산을 들여 1천800개업체를 선정, 인증소요비용의 70%(700만원 한도)를 지원키로 했다.
경기중기청이 지난달 18일부터 한달간 도내 기업을 대상으로 상반기 해외 규격·인증 획득지원사업 신청접수를 받은 결과 지난해보다 107개 업체가 늘어난 918개 업체가 신청접수, 4년째 전국 최고의 신청률을 기록했다.
지난 3년간 신청업체 수를 보면 지난 98년 291개업체, 99년 496개업체, 2000년 811개업체로 매년 전국 최고의 신청률을 기록했으나 실제 지원업체 수는 98년 138개업체, 99년 261개업체, 2000년 425개업체로 신청업체의 절반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본청에서 각 지방청의 중소제조업 비율, 수출비중, 전년도 지원비율, 신청비율 등을 감안해 지원업체 수를 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내의 경우 중소기업이 2만6천여개로 전국의 30%이상이 분포하고 있는데다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도 전국 최고치인 257개에 달해 해외 규격·인증 획득지원사업의 수혜폭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이서구 기술지원과장은 “매년 해외 규격·인증 획득지원사업 신청률이 전국 최고인데도 수혜폭은 30%선에 머물렀다”며 “올해 상반기 신청업체중 최소한 40% 가량 선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