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교역량이 늘고 있는 인천과 중국 지린성, 헤이룽쟝성, 랴오닝성 등 동북3성간의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선 현재 지린성 단둥시에만 설치된 공단을 중국 동북부지역으로 확대하는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 열린 중국3성지역 경제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인천발전연구원 선임연구원 김번욱 박사는 “지난 90년 중국과의 수교가 시작된 뒤 매년 평균 24.5%씩 교역량이 증가, 지난 99년의 경우 225억5천100만달러에 이르는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그러나 지난 90년대 후반부터 자체적으로 기술집약산업을 집중 육성하면서 교역량의 아이템들이 변하고 있는 상하이나 칭따오 등 중남부 개방도시와의 교역이 주를 이루고 있어
아직까지 비교적 산업구조가 낙후된 동북3성으로 교류를 확대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이어 “이를 위해선 현재 단둥시에만 설치된 인천공단을 동북3성 주요 공업도시로 확대하고 인천항을 출발한 컨테이너 화물선이 중국 따렌이나 텐진 등과 직접 연결될 수 있는 항로도 개발되고 인천시와 이들 도시간의 교역에 대비, 관세환급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지원될 수 있도록 국제협약이 체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장기적으로는 “북한의 남포항과 해주항 등을 황해권 협력항만으로 묶고 부산항과 울산항, 마산항, 광양항 등을 부산권 연합항만 등으로 연계하는 서남해안 항만물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또 “이같은 하드웨어 이외에도 인천과 중국 동북3성 도시간 경제인협의회를 구성, 민간차원의 교류방안도 제고해야 하고 해운은 물론, 지난해부터 복구가 시작된 철도운송체계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