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산물 수출목표 17억 달러
농림부는 올해 농산물 수출목표를 지난해 16억1천500만달러보다 8천500만달러가 늘어난 17억달러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3천440억원의 수출자금을 적기에 융자지원하고 포장개선 등 판매촉진비 212억원을 별도로 지원하는 등 수출농가와 수출업체가 자금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주요 품목별로는 인삼과 김치는 지난해보다 각각 25% 증가한 1억달러씩, 채소류는 10% 늘어난 1억3천만달러, 과실류는 11% 증가한 5천만달러를 수출할 계획이다.
농림부의 올해 농산물 수출확대 종합대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0년 농산물 수출동향
지난해 농산물 수출은 구제역발생에 따른 돼지고기 수출중단 영향으로 99년보다 3.9% 감소한 16억1천500만달러에 그쳤다.
▲2001년 수출여건 및 목표
수출여건은 농산물 수출에 영향을 주는 엔화의 강세와 유가안정 전망 등 일반적 여건은 지난해에 비해 호전될 전망이다.
중국의 WTO가입에 따른 단기적 수출영향은 상품성, 검역문제 등으로 크지 않을 전망이며 대만의 경우 과실수출 재개 등에 따른 긍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농림부는 2004년까지 실질적인 농산물 무역수지 균형을 달성하고 2005년에는 4억달러 흑자수준인 30억달러를 수출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올해는 17억불로 설정했다.
이중 대일 수출은 올해 8억2천500만달러, 2002년 15억만달러, 2005년 23억달러로 계획하고 있다.
▲10대 핵심추진전략
①오는 6월 대만이 WTO에 가입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비해 철저한 사전준비 등 국제시장의 환경변화를 수출에 활용한다.
②2001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김치, 인삼, 돼지고기의 국제브랜드화를 위한 홍보를 통해 간접적인 수출증대 및 우리식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기회로 활용한다.
③바이어, 현지인 중심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수출시장 분석체제를 보강한다.
④대일시장의 조기개척을 위해 권역별 유통업체와 직거래 수출체제를 강화한다.
⑤박람회참가 등 다양한 해외시장개척활동을 전개한다.
⑥수출애로전담전화 설치와 현장밀착형 수출컨설팅 실시 등 주요품목별 수출부진과 애로요인을 중점적으로 해소한다.
⑦수출단지 관리를 활성화해 수출농산물 공급기지로 재편성한다.
⑧농가 및 수출업체의 실수요에 부응한 자금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수출보험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한다.
⑨생산자단체가 산지 농산물수출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한다.
⑩수출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및 제재를 강화한다.
▲주요 품목별 추진대책
·김치 = 한국방문의 해 등을 적극 확용해 일본시장에서 한국산 김치와 일본산 김치의 차별화를 추진하고 도쿄, 오사카에 편중된 시장개척활동에서 벗어나 미개척지역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신시장 개척활동을 전개키로 했다.
·채소류 = 채소류 안전성 확보 등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채소류 수출협의회의 기능활성화를 통해 소나기 수출, 덤핑수출 등 수출저해요인을 자율 규제토록 유도키로 했다.
·인삼 = 인삼캐릭터를 활용해 고려인삼의 우수성에 대한 해외홍보를 강화하고 타국산 혼입방지 등 인삼유통질서 확립을 통해 고려인삼의 명성 손상을 방지키로 했다.
·과실류 = 현지의 대형유통업체와 연계한 시장개척활동 추진 등을 통해 현지인을 적극 파고드는 수출전략을 추진한다.
또한 포장재개선, 사과꼭지 제거관행 시정 등을 통해 현지요구에 부응하는 사과수출 확대방안을 적극 모색한다.
·돼지고기 = 규격돈 생산장려 및 해외바이어 관리 등 수출재개에 대비한 품질관리 및 시장개척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제주지역 돼지고기 청정화 선언 및 조속한 수출재개를 추진키로 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