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비료와 농약을 줄이고 자연과 상생하는 친환경농업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친환경농업실천기술부족, 사후관리지도 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가족농단지와 친환경농업지구조성 사업간의 내용이 유사해 중복문제가 제기돼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농림부가 최근 전국 34개 시·군의 친환경가족농단지 63개사업장과 친환경농업지구 7개 사업장 등 70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업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밝혀졌다.
친환경가족농단지 63개 사업장의 638개농가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업 이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37.9%인 242농가가 친환경농업을 이행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치 못해 일반농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농촌진흥청과 일선지도기관에서 작물양분종합관리(INM), 병해충종합관리(IPM)농법에 치중해 저농약재배수준 이상에 대한 기술지도가 이뤄지지 않는데다 시·군에서 지원단지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 사후관리가 부실하다.
농약·화학비료 사용량 절감을 위해 환경기장제를 이행토록 하고 있으나 전체농가의 71%만 이행하고 있을 뿐이다.
이와함께 친환경농업육성지원사업이 시설·장비 위주로 지원돼 해당 농가들이 운영자금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 참여농가가 11%에 그치는 등 품질인증 참여도가 낮고 가격차별화가 미흡하며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