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레미콘업계가 지난 1일부터 가격인상에 들어갈 방침을 세우고 건설업계에 통보하자 건설업계가 가격인상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업계는 지난 1일 1군 대형업체들의 경우 현행 가격보다 8% 인상하고 중소업체들에게 5%씩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에 따라 건설공사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24-210-12 규격을 기준으로 대형 건설업체들은 ㎥당 4천원이 인상돼 4만5천540원이 되며 중소업체들은 3천원이 오른 4만8천10원이 된다.
레미콘업계는 작년말 시멘트값이 9.2% 인상돼 제조원가가 상승됐을 뿐만 아니라 레미콘믹서트럭을 소유한 운송노동조합측이 운송비 인상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는데다 골재값도 앙등조짐이 확연해 가격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는 레미콘 가격인상이 공사원가 상승으로 연결된다고 보고 기본적으로 가격인상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특히 건설업계는 레미콘업계가 가격인상을 주장하는 가장 큰 요인인 시멘트값 인상을 인정하지 못한다며 강력반발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멘트의 경우 시장이 공급과잉구조를 띠고 있는데다 생산업체들이 가격인상을 시도했고 시멘트 1차 수요자인 레미콘업계가 이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레미콘 생산원가 상승압력에 부딪히고 있다”고 지적하고 “시장의 수급원리를 위배한 채 결정한 시멘트와 레미콘 가격인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가격구조가 생산원가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는데다 시멘트값이 이미 인상돼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