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신도시 건설계획이 사업지구내 주민과 공장주들의 집단반발에 이어 화성시와 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마저 제반문제 대안을 내세우며 제동을 걸고 나서 건설교통부의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진통이 예상된다.
화성신도시사업예정지구내 토지소유주들은 건설교통부가 추진중인 화성시 동탄면 일대 274만평 규모의 신도시건설과 관련, 주민의견을 전혀 수용하지 않은채 밀어붙이기식으로 개발하고 있는데다 토지보상가도 시가에 비해 턱없이 낮아 재산상의 피해를 보고 있다며 지난 99년이후 부터 수십차례에 걸쳐 대규모 집회를 갖는 등 집단반발하고 있다.
또한 이 일대 500여개의 공장주들도 투자된 시설비와 이전비에서 발생하는 손실뿐만 아니라 이전 기간 생산의 연속성을 유지하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판로의 해체 등에 따른 천문학적인 손실을 우려, 개발에 대해 적극 반대하고 있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화성시는 지난 21일 “화성신도시는 지난 99년에 택지개발지구로 지정하려다 보류됐던 곳으로 주택·공장 등 건축물이 많이 들어서 택지로 개발할 경우 주민피해가 크게 예상된다”며 지구지정을 원칙적으로 반대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경기도에 제출한 상태다.
특히 경기도는 화성신도시 건설을 현재 추진중인 화성시 도시계획이 완료된 뒤 추진할 것과 지구내 7개 건설업체의 공동주택건설 및 500여개 기업체, 토지주에 대한 보상 등의 대책을 수립한뒤 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해 줄 것을 요구하는 한편 교통대책 및 벤처위주로의 개발계획 수립도 요청키로 했다.
이와함께 현재 토지공사 등이 시행자로 지정돼 있는 것을 도 지방공사도 함께 참여해 자족형 친환경 도시로 개발될 수 있도록 건의하고 이같은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화성신도시 건설을 반대하기로 내부적으로 의견을 정한 상태다.
이에 대해 건교부 관계자는 “이들 요구사항에 대해 현재로선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며 “검토한후 수렴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협의를 해나가겠다”고 밝혀 지역주민과 지자체의 반대의사에도 화성신도시 개발을 당초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