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세들을 위하여 교육을 하는 교육자들의 행사는 그것이 비록 선거라는 행태를 지녔더라도 정치판 선거와는 달라야 된다. 흑색선거와 비방이 난무하고, 지연·혈연·학연에 따라 투표를 한다면 이는 정치판 선거와 비슷한데 이래가지고는 어떻게 교육자들이 정치판을 비판하고 또한 올바른 생활자세를 교육현장에서 강조할 수 있겠는가.
경기교육의 총 책임을 지는 교육감 선거가 24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현직교육감을 비롯한 현재 5명의 출마예정자들이 이미 선거운동에 돌입하였다. 지방자치교육에 관한 법률과 교육위원 및 교육감 선거관리규칙에 의하면 선거운동은 제한적이기는 하나, 오는 4월 9일 후보자 등록이 마감된 이후 공식적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으나, 이미 선거전이
시작되었다.
지난 19일 출마 선언을 한 조성윤 현 교육감을 비롯한 5명의 출마 예상자들은 기자회견을 통하여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교육정책의 발표 없이 이들 출마 예정자들에 대한 흑색선전과 비방만이 난무하고 있어 과연 교육감 선거가 이래도 되는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대단하다. 도 교육청 홈페이지는 흡사 각후보자들에 대한 비방선전장 같아 건전한 교육정책의 토론장은 커녕 시정잡배들의 싸움터 같다.
우선 교육감 선거는 정책대결의 선거가 되어야 한다. 선거법 때문에 아직까지 구체적인 교육정책이나 공약 등을 발표할 수 없으나, 후보자들은 2세교육을 맡은 교육자답게 흑색선전이나 지연·혈연·학연에 의존하지 말고 경기교육의 비전을 담은 정책을 개발, 선거인단에게 지지를 호소해야 될 것이다. 따라서 선거규칙을 고쳐서라도 건전한 교육정책에 대한 토론이 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선관위나 검찰은 불법선거운동 타파에 최대한 노력해야 된다. 불법운동이 적발될 경우, 끝까지 추적하여 엄정하게 다스려야한다. 이미 도선관위에는 각종 향응제공과 같은 불법선거운동행위가 접수되고 있다고 한다. 국회의원 선거 못지않은 선거자금이 사용되고 있다는 소문도 자자하다. 다른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 과다한 선거자금의 사용문제는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교육감 선거가 더 이상 불신받는 정치판 선거와 같지 않도록 출마예정자들은 물론 선거인단인 학교운영위원들의 선거인식 변화를 요망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