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지하수식수로 사용해온 도내 일부 지역 지하수에서 우라늄과 라돈 등 인체에 해로운 고농도 방사능이 검출돼 국민들을 불안케 하고 있다. 국립환경연구원이 지난해 전국의 심성암(지하 깊은 곳의 화강암)대에 위치한 지하수 145곳(도내 16)을 표본 조사한 결과 도내 2곳에서 암을 유발하고 신장을 손상시키는 우라늄이 캐나다 기준치(100ppb)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캐나다만이 기준치를 설정해놓고 있는 우라늄의 경우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 지하수에서 330ppb, 여주군 강천면 강천2리에선 268ppb가 각각 검출됐다. 특히 이 두 지역의 지하수를 매일 2ℓ씩 마실 경우 우라늄 인체 노출 수준은 세계보건기구 권고치보다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 우라늄이 붕괴할 때 발생하는 가스형태의 방사성 원소로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라돈은 조사대상 지하수의 31%인 45곳(도내 6곳)에서 미국의 잠정규제치인 3천pci/ℓ(피코큐리/리터)보다 높게 측정됐다.

조사내용이 사실이 아니기를 바라지만 국립환경연구원의 자료이니 믿을 수밖에 없는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 지하수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고 있다는 것은 지난 95년이후 각종 조사결과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환경연구원의 조사가 표본조사라는 한계성 때문에 조사지역이외의 지하수에 대해선 위험한 방사능을 띠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이처럼 모든 지하수에 대한 방사선 물질 함유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다 더욱이 우리는 우라늄 라듐 라돈 등 방사능 수질 허용기준치가 없어 그 지하수가 어느 정도의 방사능을 띠고 있으며 그것이 안전한지를 몰라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국민들로서는 불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방사능은 우리가 X-레이 검사(촬영)를 해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처럼 기준치 이하일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지하수가 어느 정도의 방사능을 띠고 있더라도 그것이 어느 수준이어야 안전한가를 가름할 수 있는 기준은 있어야 한다. 정부는 이제 WHO 등 세계기구나 권위있는 연구기관에 의뢰, 음용수에 대한 방사능 허용기준치 설정작업을 서둘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시켜야 한다. 환경선진국인 호주 캐나다 등의 연구사례도 참고해볼 일이다. 음용수 방사능 허용기준치 설정의 필요성은 이제 국민 건강을 위해 절박한 국가적 과제인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