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상품 불매운동

일본역사교과서 왜곡에 분노한 국내 시장의 반일감정이 일본제품 불매 정서 확산으로 나타났다. 소니등 가전제품을 비롯, 시세이도 화장품등이 15∼20%나 매출이 줄고 마일드세븐등 담배는 더욱 급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지의 이같은 보도는 시장의 자연발생적 단계인 일제 불매정서가 앞으로 시만단체등에 의해 조직적으로 주도될 경우엔 국민적 불매운동으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는 호혜주의에 의해 어느 특정외국 제품이 시장에서 거부되는 것을 원칙적으로 원치 않으나 이렇게 해서라도 응징이 불가피하다고 보는 소비자들의 거부정서 또한 이유가 있음을 인정치 않을 수 없다.

조선과 중국침략을 ‘진출’로 호도하고 2차대전을 미화, 위안부를 ‘전시근로동원’으로 얼버무리는 등 137군데나 고친 일본역사교과서 왜곡내용엔 언급한바 있으므로 새삼 더 상론할 필요는 있을것 같지 않다. 우리가 오늘 여기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시장의 일제상품 거부성향은 비단 일본정부 뿐만이 아니라 미온적 대처로 일관해온 우리정부에 대한 불만도 아울러 내포한 것으로 해석된다는 점이다. 중국이나 북한은 연일 강력한 경고를 하고있는데 비해 정부는 겨우 형식적인 유감표명에 그친 채 이제는 관련 각료부터가 국회에서 ‘일본의 자국중심사관’이라는 궤변을 늘어놓는 지경이 됐다. 한일관계의 파트너십을 말하지만 불평등한 일본의 우리에 대한 인식을 진정한 파트너십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정부의 고충을 짐작못하는 것은 아니다.

남북관계에 일본의 영향을 고려해야하고 또 대통령이 일찍이 야인시절부터 ‘친 김대중 성향’이 짙었던 일본사회에 대한 과거부담도 적잖은듯 싶다.

그러나 묵과해서는 안된다. 일본은 극우화로 치닫고 있다. 역사교과서 왜곡은 표면상으로는 국수주의자들인 극우파가 앞장서고 있지만 일본사회는 묵시적으로 이에 동의하고 있는 것이다. 일제침략의 가해자와 피해자들은 아직도 생존해 있다. 벌써 반세기가 훨씬 더 지났지만 생생한 역사의 증인이 살아있는 마당에도 거짓말을 일삼는 일본이 장차는 무슨 일인들 또 저지를지 못할까 싶어 심히 걱정된다. 일제상품 불매정서,

불매운동은 바로 이에대한 경고다. 정부는 유화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나 민중은 일본의 오만을 결코 용서할수가 없는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