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실한 사이트 집중공략 취업문 활짝

‘인터넷 취업사이트를 활용하면 취업이 보인다’최근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해 직업을 구하려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다.

IMF 외환위기 극복이후 반도체와 정보통신(IT)산업의 호황을 타고 기업체의 채용패턴도 채용공고에서 부터 지원서 교부·접수·합격자 발표까지 모든 과정이 인터넷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치열한 취업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남보다 한발 빨리 신속하고 정확한 취업정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취업관련 사이트 검색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 및 구인업체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주요 취업관련 사이트를 소개한다.

국내 최대규모의 개인 및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 인크루트(www.incruit.com)는 이력서를 제출한 취업 희망자만도 42만여명에 이른다. ‘멀티플 이력서’를 통해 이력서를 한글과 영문 중 하나만 작성해 놓으면 구직자가 필요한 외국어로 자동 번역해 준다.

캐리어 서포트가 운영하는 스카웃(www.scout.co.kr)은 취업준비생과 구인업체를 온라인 경매형식으로 연결해 주는데 경력, 희망급여 등을 등록하면 이 조건에 맞는 회사를 우선 연결해 주고 있다.

특히 외국기업협회(KOFA)에 소속된 외국기업에 대한 소개와 구인정보도 제공해 주고있으며 취업 희망자가 새 이력서를 등록하거나 취업경매에 참가할 때마다 수수료를 받는다.

온라인 면접시스템과 e-Recruiting서비스를 제공하는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기업과 입사희망자간 오라인 면접을 중계하고 동영상을 통해 이력서를 접수받기도 한다. 최근 구인난이 심각한 정보통신기술분야 채용 및 구직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T잡코리아(it.jobkorea.co.kr)도 운영하고 있다.

벤처피플(www.venturepeople.co.kr)은 5만명의 인재데이터를 출신대학, 경력, 직종, 계층별로 구분해 500여명의 각계 전문가에게 적합한 인재를 추천받는 ‘원스톱 토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급인재 및 상시 채용정보, 아르바이트 인력, 회사별 채용인력 등을 주로 소개하고 있는 잡링크(www.joblink.co.kr)는 e메일로 채용정보를 제공하는 맞춤정보 서비스로 희망연봉, 업종, 직위, 직무, 근무지역 등 자신이 원하는 8가지 조건에 가장 근접하는 직장을 찾아 준다.

뿐만 아니라 노동부산하 중앙고용정보관리소가 운영하는 워크넷(www.work.go.kr)은 국내는 물론 해외취업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는 포털사이트이며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www.kmanet.or.kr)과 중소기업청의 인력정보망(www.smba.go.kr)은 중소기업이 현장에서 의뢰하는 최신의 채용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취업관련 사이트가 1천여개나 난립해 선택이 어렵고 이용자들도 대부분 무턱대고 취업신청만 하거나 자필이력서보다 성의없이 정보를 입력해 구인업체들로 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인터넷 취업 성공전략 5계명>

1)궁합이 맞는 사이트를 이용하라=취업분야에 맞는 정보가 많고 내용이 충실한 사이트를 집중 공략하고 그렇지 않다면 인지도가 높은 종합 취업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2)튀는 자기소개서나 이력서로 첫 인상을 잡아라=회원등록이나 구직신청을 할때 자기소개서나 이력서를 부실하게 기재하거나 채팅용어를 사용하는 구직자가 많다. 아무리 취직이 절박해도 읍소형이나 애교형보다는 자신의 장점을 눈에 띄면서도 성의껏 알리는 태도가 필요하다.

3)마감일을 맹신하지 말라=구인회사의 전형 마감일만 믿고 느긋하게 서류를 제출하는 사람은 취업하기 힘들다. 구인정보가 올라온 당일이 곧 마감일이라 생각하고 신청해야 구인회사의 눈길을 끌을 수 있다.

4)구직 신청자료를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라=취업사이트에는 구직신청자가 많기 때문에 한번 정보를 올리고 무관심하면 신규자료에 파묻혀 구인회사들의 조회범위를 벗어나기 일쑤다.

5)눈높이를 더 낮춰라=장기간 실업자로 있으면서 가능성을 두드리기 보다는 임시직이나 아르바이트, 인턴사원으로라도 일하면서 희망취업분야를 찾는게 취업문을 넓힐 수 있는 방법이다.

/연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