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금리가 내림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상승률이 5%에 육박할 것으로 보여 가계의 입장에서 2·4분기 실질금리는 마이너스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질금리가 일시적이나마 마이너스를 보이는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로 이제 돈을 갖고 있으면 있을수록 손해를 보는 시대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15일 한국은행과 금융계에 따르면 작년동기대비 4.2∼4.4%를 기록했던 1분기중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4분기에는 환율상승 등으로 더 높아져 5%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후 기자간담회에서 “요즘 같은 환율추세가 이어진다면 2·4분기에는 물가상승률이 5%에 근접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비해 수신금리는 계속 하락, 지난 2월의 은행권 수신평균금리가 5.43%였으며 3월과 4월에는 은행권의 정기예금 금리 인하 등으로 평균금리가 더 내려가 5%를 약간 넘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4분기 수신평균금리가 5.2%라고 가정할 경우 이자소득세(16.5%)를 떼고 나면 세후이자는 4.3%대에 그쳐 물가상승률(5% 예상)을 0.7%포인트 가량 밑돌게 된다.
/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