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운영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창업보육센터의 효과적인 보육사업을 위해 운영비를 차등지원키로 한 것과 관련 보육센터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는 운영비 책정예산이 턱없이 부족한데다 이마저 센터의 운영실적을 평가해 차등지원할 경우 3분의 1가량이 혜택을 못받는 것은 물론 실적 우수센터와 부진센터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마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19일 경기중기청과 도내 창업보육센터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는 37개 보육센터에 348개 업체가 입주해 있는 것을 비롯 전국적으로 274개 센터에 2천520개 업체가 입주해 성공의 부푼꿈을 키워가고 있으나 운영비 부족으로 애로를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중기청은 내달말까지 센터별 운영실적 평가 및 실사를 마친뒤 이를 토대로 오는 6월부터 29억원의 운영비를 차등지원할 방침이다.
그러나 보육센터 대부분은 입주업체에 필요한 특허·기술·법률·경영·마케팅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전담인력(매니저)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실적평가시 불이익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14개업체가 입주한 K보육센터의 경우 교육 및 세미나 참가, 컨설팅, 사무실운영비 등으로 월평균 500여만원이 소요되는데도 입주업체들의 임대료 수익은 월 300만원에 불과, 보육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H보육센터도 고가인 인터넷 관련 신자료 및 디자인 책자 구입, 전화·전기료 등으로 월평균 400여만원의 운영비가 필요한데도 20개 입주업체의 운영비 수익은 200여만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K보육센터 관계자는 “전국 보육센터가 2천520개인데 반해 지원예산은 29억원으로 센터당 1천만원에 불과한 운영비를 지원받게 되는 셈인데 이마저 차등지원될 경우 실적이 우수한 센터와 그렇지 못한 센터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마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