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고 부실방지 방안 마련돼야

사채시장으로 밀려났던 서민들의 자금수요를 상호신용금고에서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출금리 인상 및 BIS비율 완화 등 구체적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4일 상호신용금고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제도권 금융기관인 금고에서 담보가 없고 신용이 떨어져 고금리 사채시장에 의존해온 서민들을 흡수하도록 하는 등의 서민금융 이용자 보호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고금리 사채시장을 이용했던 서민들은 금고에서 급전 대출을 쉽게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소액대출을 받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예상된다.

금고업계는 담보가 없고 신용이 떨어져 은행 등에서 소외받은 서민들에게 급전을 대출해주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대한 부실우려가 높기때문에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금고 감사시 면책이나 감경 등을 해주는 방안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함께 현재 금고에서 연 24%를 받는 소액신용대출도 리스크 등을 감안해 30% 등 고금리를 받을 수 있도록 금리인상이 이뤄져야 하며 부실방지를 위한 신용평가 시스템 등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사채시장을 이용하던 서민들이 신용금고를 통한 대출활성화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금고의 한 관계자는 “여신처 확보를 위해 소액신용대출 등을 늘려가고 있으나 부실방지 대책 등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금고들이 부실에 따른 존폐위기까지 감수하면서 서민들에게 대출을 해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상호신용금고는 최근 일부 금고에서 주부, 회사원,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연24%의 비교적 비싼 금리를 받는 소액신용대출을 해주고 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