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비자물가 상승을 우려 상반기내 공공물가 인상 억제정책을 펴고 있는 가운데 수원시의 경우 1·4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의 물가 상승률을 보이는 등 소비자물가가 심상치 않다.
이러한 상승률은 정부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대로 억제하겠다는 목표를 연초부터 무너뜨린 것으로 앞으로 그동안 억제되어 왔던 공공요금 인상이 본격화 될 경우 소비자물가는 더욱 올라갈 것으로 보이는 등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29일 통계청 경기통계사무소에 따르면 올 1∼3월 소비자물가가 전국 평균 4.2%의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전국 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인천과 광주로 각각 작년 동기대비 4.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7대 도시와 29개 지방 중소도시 등 36개 도시 중에서는 수원이 5.0%로 작년 동기비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고양시도 4.8%의 상승률을 기록, 2위를 기록했다.
더욱이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은 올 2·4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2%에 이를 것으로 전망, 앞으로의 물가관리에 적극적인 대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성남시는 지난해 동기비 3.5%가 상승, 청주와 천안에 이에 3번째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