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다소 회복기미를 보였던 지역 실물경기가 지난달 다시 내리막길로 돌아서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 경기·인천통계사무소가 발표한 4월중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경기지역의 산업생산은 섬유제품, 사무계산 및 회계용기계, 기타 전기기계 등의 부진으로 전월에 비해 7.0% 감소해 3개월만에 감소세로 반전됐다.
11개월만인 지난 3월(5.0%) 증가세로 돌아섰던 제품출하도 생산업종의 부진으로 인해 다시 8.3% 감소, 2개월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올해들어 증감을 거듭하던 제품재고는 의복 및 모피제품, 제1차 금속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종의 감소로 인해 전월보다 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소매점의 경상판매액의 경우 백화점의 봄철 바겐세일 및 신규 대형할인점의 영업호조로 소비심리가 다소 살아나면서 전월에 비해 3.9% 증가한 5천380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인천지역은 자동차 및 트레일러, 석유정제업, 화합물 및 화학제품 등의 생산호조에 힘입어 산업생산은 지난 3월(0.9%)에 이어 0.4% 증가했으며 제품출하는 -1.0%에서 2.2%로 소폭 증가했다.
내수 및 수출부진으로 2개월째 소폭 증가세를 보였던 제품재고도 4월들어 1.7% 늘어나 3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건설발주는 경기지역이 민간·공공부문의 발주가 줄어들어 전월에 비해 7.4% 감소한 반면 인천은 공공부분의 발주증가에 힘입어 전월보다 4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