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25일 “영해와 북방한계선은 굳건히 지키겠다”면서 “한반도에서의 휴전상태를 최종적으로 종식시키기 위하여 남북간의 평화협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신라호텔에서 열린 6.25 51주년 참전용사 위로연에 참석,“우리 한국 국민은 한반도에 완전한 평화가 올 때까지 안보를 철저히 수호할 것이며동맹국 및 유엔과 긴밀한 협조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대통령은 또 “이 평화협정에 대해선 남북 쌍방을 비롯해서 주요 참전국인 미국과 중국이 지지하고 그 실천에 협력해야 할 것이며 유엔의 찬성도 필요하다”고 말하고 “평화협정은 어디까지나 남북간의 당사자가 주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이 평화협정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한 것은 지난 3월 한미 정상회담이후 처음이며, 이는 북한 상선 및 어선의 영해 및 북방한계선 침범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 지연 등으로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남북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평화협정은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목표이며 긴장완화→신뢰구축→평화협정 등 단계적으로 남북관계를 발전시켜 나간다는게 김 대통령의 구상”이라고 설명했다.
/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