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복구, 수해대책 겸해야

민·관·군의 수해 복구작업이 한창이다. 수해대책의 소홀한 책임을 따지는 것도 절실하지만 복구가 우선이다. 도내에 1만여명이 투입, 2천200여대의 각종 장비가 동원된 가운데 유실된 도로 및 제방등 공공시설 복구와 함께 침수지역에 대한 작업이 숨가쁘게 진행되고 있다. 다행히 적십자사와 독지가 등의 현지지원이 있는가 하면 가전 3사는 가전제품의 무료봉사 등을 벌이고 있긴하나 3천500여명에 이른 이재민 긴급구호가 초미의 관심사다.

또하나 시급한 것은 예산지원이다. 대개의 경우, 예산집행 절차에 매달리다가 사후약 방문이 되는 폐단이 또다시 거듭돼서는 안된다. 지방·중앙을 막론하고 당장 예비비라도 풀어야 한다. 재해대책을 위한 추경편성은 물론 필요하지만 다음의 일이다. 어제도 말했지만 도내만 해도 3천600여채의 가옥등 침수지역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요구된다. 콜레라, 장티프스, 이질, 피부병 등 수인성 전염병을 막기위한 현지 대책과 진료활동이 차질없이 이행돼야 한다. 불행하게 일단 발생되고 나서는 확산을 막기가 어렵다. 발병을 원천적으로 봉쇄해야 하는 것은 자치단체의 책임이다. 가로등 누전에 의해 도내 4명, 인천 5명, 서울 6명등 15명이 길가다가 멀쩡한 사람이 감전으로 비명횡사한 것은 정말 해괴하다. 이같은 사고는 사고 자체가 실로 수치스러운 후진국형 인재다.

수해복구작업은 복구작업이면서 오는 19일부터 또 장마비가 쏟아질 것으로 예보된데 대한 수해대책이기도 하다. 누전사고의 철저한 경찰수사와 더불어 또다시 호우가 내려도 재발하지 않는 안전대책을 거듭 촉구해둔다. 침수지역에 대한 재발없는 대비도 역시 완벽해야 한다. 장기대책과 함께 침수의 원인에 따른 배수시설등 당장의 응급대책을 강구해 엎친데 덮친식의 침수 재발이 없도록 해야 하는것이 자치단체의 임무다.

지금 수재민 가운데는 인재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다. 물론 다 그렇다고 할순 없겠으나 과연 평소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대처해 왔는지는 의문인게 사실이다. 특히 자치단체장은 더욱 냉철한 반성이 촉구된다. 심야의 집중호우 때 취약지구를 돌아본 단체장이 얼마나 됐는지조차 심히 의심스럽다. 지금이나마 앞으로의 호우에 수해대책을 겸하는 수해복구 작업에 성실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