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장의 경우

주민행정은 성격상 더욱 투명해야 한다. 이해관계가 다양하므로 한점 의혹없는 객관적 공정성이 담보돼야 설득력을 갖는다. 안양시가 동안구 비산1동에 조성하는 권역별 주차장 사업은 이런 점에서 문제점이 적잖다. 사업 추진상 땅 매입의 특정 혜택이 일반인에게 돌아가도 불가피성이 명명백백 해야 할터에 현직 시장 형제가 덕을 보는 것은 아무래도 석연치 않다. 그것도 당초의 주차장 계획 진입로등을 바꾸어

설계변경까지 해가며 시장 땅을 150㎡로 늘린 것으로도 모자라 시장 동생의 땅 142㎡와 건물까지 포함시켜 15억8천190만원규모로 늘린 것은 참으로 이상하다.

안양시는 이같은 땅 매입이 정당한 가격을 치르는 것이므로 특혜가 아니라고 강변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신중대시장이 사재에 손해를 보면서 공익시설에 투입하는 것으로는 볼 수 없고, 결코 쉽지않은 십수억원대의 고가매물을 일시에 환금처분 하는 것은 통념상 특혜가 아니라고 말하기 어렵다. 또 매입가격의 산출근거가 무엇인지도 궁금하다.

시당국은 주민편의를 위한 것이라며 모든 구실을 주민에게 돌리고 있지만 객관성이 희박하다. 우선 주차장 부지로 하필이면 왜 시장형제의 땅이 필요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수 없다. 선정기준을 누가 어떻게 정했으며 선정은 어디서 했고 경위는 어쨌는지에 대한 정보 공개가 마땅히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이 밀실결정이란 의혹을 떨칠수가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설사 시장의 땅이 주차장 부지로 합당했다 하여도 다른

곳을 물색토록 하는 것이 시민이 보기에 좋은 건전한 도덕성이라는 사실이다. 다른데를 물색토록 하기는 커녕 계획을 바꾸어 자신의 땅을 더 사들이도록 하고, 당초에 없던 동생 땅까지 포함시킨 이상한 조치는 시민들이 보기에 결코 좋은 현상은 아니다. 마치 행정을 사병화한 것으로 오인받기 십상인 이같은 일은 자치행정의 발전을 위해

지극히 불행하다. 민선 단체장이 스스로가 경계해야 하는게 바로 이러한 점이다.

지금도 늦지 않다. 비산1동에서 절대적으로 시장 땅만이 최상의 주차장 부지는 아닐 것이다. 안양시는 비산동 권역별 주차장 장소를 백지화하고 다른 곳을 찾아보는 도덕적 용기를 갖기 바란다. 주민행정이 투명하지 못해 두고두고 의문을 낳는 것보다는 공명정대하게 처신하는 것이 훨씬 유익하다. 안양시의 재고를 거듭 촉구하며 추이를 주목하고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