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재회담을 갖는다 하여 국내 정치의 체질이 달라질 것으로 믿는 국민은 별로 있을것 같지않다. 이 정권들어 가진 일곱차례의 회담에서 우리는 그 같은 것을 경험하였다. 때로는 아예 만나지 않은 것보다 못했던 적도 있었다. 불발한 회담 정례화 합의사항처럼 발표에 그치고 만 합의가 대부분이었다.
여야 총재가 마지못해 만나서 사진찍고 밥먹고 각자 좋을대로 동상이몽의 얘기를 나누고 돌아서서는 의미를 제멋대로 부여하고, 합의사항도 그나마 으례 불발에 그치는 것이 그간의 회담이었다. 이번에 여덟번째 만남을 갖는다 하여 뭐가 달라질 것이라는 보장 또한 있는게 아니다. 그래도 만나야 한다고 한다. 만나서 대화를 나누다 보면 정국타개의 길이 열린다고 한다. 본란도 한때는 그러기를 바랬다. 그러나 이젠 아니다.
이번만은 성공적인 회담이 되기위해 여야가 미리 실무팀을 가동한다 하여도 결과는 역시 마찬가지다.
문제는 정국을 주도할 책임이 있는 김대중 민주당총재에게 있다. 야당을 국정의 동반자가 아닌 집권여당의 들러리로 인식하는 한 여야의 생산적 정국확립은 어렵다. 실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김총재의 대야 시각이다. 장구한 야당시절 그토록 어려움을 겪었으면 누구보다 포용력이 있을 것으로 알았다. 현실은 판이하다. 누구보다 한술 더 떠 계략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 정권에서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정국경색의 미봉책 돌파구로 수단화돼 온 것이 여야총재회담이다. 그러고는 한숨 돌린 뒤엔 여전히 또다시 정국경색을 자초하곤 하는 악순환이 이어져 왔다. 정권의 근원적 체질변화 없이 국민에게 총재회담의 성과를 뭘 기대하란 것인지 알 수 없다. 더 급한 것이 있다. 이미 약속된 현안의 국정쇄신방안 발표를 미루지 말고 지금이라도 밝히는 것을 국민은 실속없는 총재회담보다
더 듣고싶어한다. 그리고 국회를 하루빨리 열어 산적한 민생의안을 시급히 처리해야 한다. 이런대도 집권여당 안에 이를 제대로 직언하는 이가 없다. 직언을 해봐야 소용없는 탓도 있어 그렇겠지만 되레 망언만 난무한다.
총재회담을 영수회담이라고 하는 것부터가 잘못이다. 여러 사람중, 즉 무리가운데 우두머리가 영수란 어휘로 다분히 권위주의적이다. 본란이 굳이 여야 총재회담이란 말을 고집하는 것은 여야의 총재가 만나는 사실 그대로를 포기하자는 생각에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