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활개치는 폭력조직

한동안 주춤했던 조직폭력이 다시 활개를 치고 있다. 서양의 마피아조직이나 일본의 야쿠자와 조금도 다를 것이 없다. 엊그제 경찰에 구속된 폭력조직 부천연합식구파의 행적과 규모를 보면 외국의 폭력조직을 닮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천 북부역 일대에서 활동해온 이 폭력조직의 조직원은 80명으로 이중 51명(구속 36명·불구속 15명)이 입건됐고 아직도 29명이 수배된 상태다.

이들은 이미 와해됐던 2개파의 조직원을 중심으로 폭력조직을 재건, 그동안 울산·평택 등지 공장의 노사분규 현장에서 일당을 받고 구사대로 활동, 폭력을 휘둘러온 혐의를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서울의 어느 종단내분 마찰현장에도 투입되는 등 돈을 받고 해결사 노릇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또 조직자금 마련을 위해 유흥업소로부터 보호비 명목으로 돈을 뜯어왔으며 직영 유흥업소에 미성년자를 접대부로 고용하고 고리사채업을 통해 조직자금을 불법 조달해왔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선량한 시민을 괴롭혀온 조직폭력배의 폐해는 일일이 열거할 필요도 없이 수없이 많고 그 정도가 지나쳐 사회악의 하나로 척결의 대상이 되어왔다. 치안당국이 폭력조직 소탕 전담반을 편성, 꾸준히 단속을 벌여 상당한 실적을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무법적으로 날뛰는 폭력배들의 위협속에 선량한 시민들이 불안한 나날을 보내야 하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최근 언론사 사주 구속과 대북정책에 대한 갈등 등 혼란스런 정정(政情)에 당국과 국민이 온신경을 빼앗긴 사이 독버섯처럼 무서운 속도로 자란 조직폭력단의 온갖 범죄행각에 시민들이 치안부재 불안에 떨고 있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더구나 경기·인천지역은 수도권이란 특수여건으로 조직폭력배가 날뛰기 좋은 무대인데다가 신흥조직이 침투, 기존 조직과의 주도권 다툼과 보복전으로 항상 피비린내 나는 집단싸움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치안당국은 정국이 혼란한 틈을 타고 유흥업소 등에서 기생하면서 업주를 괴롭히는 폭력조직의 발호를 차단하고 잔존조직 소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송사리급만 잡아 들이지 말고 두목급도 과감히 색출함으로써 기업화한 폭력조직을 발본색원적으로 척결해야 한다. 아울러 폭력조직을 기업체 노사분규의 해결사로 연결시켜 주는 불법용역업체도 철저히 단속, 엄중처벌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