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모두가 관광안내인이어야

한국관광공사 관광불편 신고센터에 접수된 올 상반기 외국인들의 신고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9%나 증가했다는 집계가 우리를 당황케 한다. 매년 조금씩 줄어오던 것이 ‘한국 관광의 해’에 오히려 거꾸로 치솟은 것이다. 반대로 상반기 외국인 관광객 증가율은 당초 목표(10%)를 한참 밑도는 0.2%에 그쳤다고 한다.

2002년 월드컵에 대비해 정부가 올해를 ‘한국 관광의 해’로 정했지만 예년에 비해 짜증과 불만을 품고 돌아가는 외국인 관광객이 오히려 크게 늘어나고 있으니 그동안 관광정책을 어떻게 추진해왔는지 책임 추궁이라도 해야할 정도다.

정부는 1999년 이후 매년 관련부처·단체 및 지방자치단체가 참석하는 대통령 주재 관광진흥 확대회의를 열고 있지만 별 효과가 없었음이 드러난 셈이다. 이는 관광상품 개발에만 주력해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올해의 경우 예산 84억원 가운데 지방축제에 50억원, 해외홍보에 14억원이 투입됐으나 서비스쪽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 불편신고는 택시에 대한 신고가 가장 많았고, 공항·항공기 이용 및 출입국 절차 불편도 크게 늘어났다. 관계부처는 가장 큰 원인을 관광종사자들의 의식문제로만 돌리고 있으나 비단 관광종사자들만의 탓이 아니다. 외국인들을 맞는 국민 전체의 서비스 정신이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외국인 투숙객들에게 ‘손님 받아야 하니 호텔방 낮엔 비워라’라거나 관광버스는 ‘팁 안주면 못간다’하고 중국·동남아 관광객들은 입국 때부터 범죄인 취급을 받는다고 하니 누가 한국을 방문하겠는가.

버스에 외국어 안내방송이 없고 지하철은 노선이 너무 복잡하며 택시는 자동차 경주를 하는 것 보다 무섭다고 외국인들은 말하고 있다.

건설교통부는 지난해 9월 택시에 외국어명함 부착을 의무화했고 외국인 관련 부당요금에는 과태료를 50% 가중부과하고 있다고 한다. 문화관광부쪽은 관광불편 신고 내용을 관할 부처나 자치단체에 넘겨도 관광에 대한 의식이 없어 성의를 갖고 처리하지 않는다고 서로 책임을 전가하는 것도 고질적인 문제점이다.

외국인을 맞는 국민은 개개인 모두가 관광요원이라는 의식과 언행을 보여줘야 한다. 도자기 엑스포가 열리고 있고, 2002년 월드컵경기가 개최되는 경기도민과 인천시민은 특히 더욱 관광안내인임을 자임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