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더미 국제행사 중단해야

빚투성이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벌이는 국제행사에 대한 우려가 높다. 환란 후유증이 아직도 치유되지 않아 나라경제가 어려운데도 이에 아랑곳 없이 경기·인천지역 일부 지자체들이 막대한 예산투입과 인력을 동원해 벌인 국제행사가 외화내빈으로 그 효과가 미심쩍기 때문이다.

경기도 및 인천시의 빚이 각각 2조7천억원과 1조원에 이르러 지방세의 상당부분을 원금과 이자갚는데 써야 할 형편에 돈을 펑펑 써가며 효과도 확실치 않은 ‘껍데기 행사’를 벌이니 누군든지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다.

지자체가 유치하는 국제행사는 오랜 전통속에서 지역인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생성 발전하는 한마당 잔치가 이상적이지만 지금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벌이는 국제행사들은 역사성도 없이 급조한 것이 많다. 국제행사는 기획단계에서부터 타당성·수익성 등을 면밀히 따져 결정해야 한다. 또 결정 후에도 상황에 따라 규모를 적절히 조정하는 신축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자체들이 벌인 국제행사를 보면 정밀한 운영계획과 효과분석도 없이 유치하는 바람에 여러 국제행사가 비슷한 문화행사가 되면서 지역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하남시가 217억원을 들인 ‘하남국제환경박람회’는 외국인들의 외면으로 90만명의 관람객 중 외국인은 4천명에 그쳐 187억원의 적자를 냈다.

인천시가 18억원을 들여 지난해 연 ‘인천세계춤축제’도 준비 미비로 행사개최 40일전에 돌연 연기, 외국 공연팀의 일정파기 등으로 국제적 위신을 떨어뜨린채 10억여원의 적자를 냈다. 뿐만 아니라 기업에 협찬 요구와 입장권 할당, 그리고 공무원을 동원한 입장권 강매 등으로 민원을 야기하기도 했다. 이같은 흥청망청 국제행사는 경기도의 경우 98년 4회, 97년 7회, 2000년 8회 등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이런 국제행사가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국제적인 호응을 받는 축제라면 그래도 위안을 삼을 수 있다. 그러나 관객들로부터 숫제 외면당하고 비판의 대상에 오르기 일쑤였다. 이제 지자체들의 낭비성 예산집행은 더이상 방치할 수 없다. 지방의회가 쓸데없는 축제나 이벤트성 행사를 가려내 막아야 한다. 사후평가를 철저히 해 충실한 준비와 진행으로 성공한 사례는 국제축제로 발전하도록 집중지원하되 이름뿐인 행사와 낭비가 심한 사례는 과감히 중단시키는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