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가조작·횡령 혐의로 구속된 지엔지(G&G) 그룹 이용호 회장의 로비의혹 사건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여권 실세가 개입되었다느니 또는 검찰이 사건에 대해 철저한 조사없이 적당히 마무리하려 했다느니 각종 루머가 사건의 의혹을 더욱 부풀리고 있다. 더구나 전 법무장관이 사건을 수임받아 거액의 수임료를 받았을 뿐만아니라 이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어 국민적 관심이 대단하다.
이번 사건은 이용호씨가 단기간에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정치권을 비롯한 권력자들과 관련되었을 개연성을 무시할 수 없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씨는 검찰과 금감원 고위간부 이외에도 정치권 인사들을 사외이사 등으로 영입하는 등 전방위 로비를 벌인 의혹이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다. 국가정보원, 국세청 등은 물론 심지어 검찰총장 동생에게까지 ‘사장자리 주겠다’고 하여 접근했을 정도이니 이씨의 로비 행각은 대단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우선 우리가 제일 의혹을 갖는 것은 검찰의 석연찮은 수사태도이다. 검찰은 작년 5월 이씨를 주가조작 혐의로 긴급 체포하였다가 특별한 이유없이 곧 무혐의로 풀어준 것이다. 더구나 그해 12월에 금감원으로부터 주가조작 조사관련 결과를 통보받은 이후에도 최근까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아스럽게 생각된다.
이씨는 단기간에 1천억원대의 재산가로 떠올라 이 과정에서 증권가에는 주가조작설, 조직폭력배 자금 유입설 등등 갖가지 풍문이 난무했는데 검찰이 긴급체포한 용의자를 어떻게 무혐의로 곧 풀어줄 수 있는가 의문을 제기치 않을 수 없다. 검찰이 뒤늦게나마 당시 수사 검사 등을 소환하여 조사에 착수한 것은 사건의 실체 규명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조치이다. 검찰은 한점의 의혹도 없이 긴급 체포한 용의자를 무혐의로 석방한 이유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이씨가 광주J건설회사 대표 여운환 사장에게 수사 무마 명목으로 준 20억원에 대한 사용 용도에 대하여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만약 이 자금중 일부라도 관련기관에 뇌물형태로 전달되었다면 이것 또한 성역없이 수사해야 될 것이다. 검찰은 제2의 옷로비사건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철저한 조사를 해야한다. 검찰이 사건의 철저한 규명없이 적당하게 마무리 하려고 한다면 사건의 실체는 특검제 도입을 통해서라도 밝혀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