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오염 이대로 둘 수 없다

인천 앞바다가 죽어가고 있다. 맑고 푸르러야 할 바다가 여기 저기 떠다니는 쓰레기와 기름띠, 그리고 연안 공장과 주택가에서 마구 쏟아져 나오는 산업폐수와 생활하수 등으로 크게 더럽혀져 가고 있다. 갈수록 심각해져 가는 바다의 오염으로 연안 양식장에서 어류가 떼죽음을 당하고 조개류 등이 폐사하는 사고가 빈발하는가 하면 기형 물고기까지 나타나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인천·강화 앞바다에서 부유폐기물을 수거 조사한 결과 1천401개의 폐기물중 비닐과 플라스틱이 92%를 차지했으며, 침적 폐기물중 73%가 어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인천 앞바다의 오염도는 COD기준(mg/ℓ)으로 부산(1.38)과 군산(1.40)·목포(1.37)·태안(1.22)보다 높은 1.58을 기록, 환경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1999년 이후 국내 연안에서 검출되고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이 서해안에선 1.65pg이나 검출되고 있으나 우리는 아직 해양오염에 대한 기준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니 한심한 일이다. 서해안 쓰레기 오염에 대해선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도 비슷한 조사결과를 내놓고 있다. 특히 장마때 한강 하류에서 서해로 흘러든 수만t의 부유쓰레기는 빠른 조류에 떠다니다 통발이나 그물 등 어구에 붙어 어로작업에 지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이 쓰레기 등에 의한 오염은 해양생태계 파괴를 심화시켜 상당수 어종이 산란을 하지 못해 어족자원이 말라가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의 어획추세를 보더라도 꽃게, 새우, 광어 등의 총 어획량이 1999년 45만4천t에서 지난해 41만3천t으로 감소했으며 92년(82만t)에 비하면 무려 50% 가까이 줄었다.

이제 해양오염문제는 그 예방과 방제 그리고 어민의 생계와 환경보전의 차원에 걸쳐 종합적으로 효과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할 긴급 과제다. 무엇보다도 해양오염방지 행정의 체계를 재정비하고 완벽한 방제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60%도 안되는 하수처리율을 획기적으로 올리고 장마시 쓰레기 유입방지책으로 탄천에 시범설치된 차단막의 확대설치도 생각해볼 일이다. 또한 어민들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한 쓰레기투기행위에 대한 처벌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