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테러 방비책 완벽한가

사이버 테러 비상이 걸렸다. 미국 테러 대참사 이후 이같은 무차별적 테러행위가 사이버 테러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이미 사이버 테러 비상경보를 발령하고 연구원들에게 산업 보안교육을 실시하는등 보안대책 마련에 나섰고, 대한항공도 외부와 연결이 필요없는 시스템을 완전 분리, 운용하는 한편 해커공격을 받더라도 즉각 가동할 수 있는 백업시스템을 구축해 놓고 있다. 정부 또한 통신업자와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모의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과연 우리가 사이버 테러에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완벽한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이버 테러에 대한 경고는 이미 지난해 수차례나 있었다. 작년 2월 야후·아마존 등 미국의 포털서비스 웹사이트가 해커의 잇단 공격을 받아 전세계를 큰 소동에 휩싸이게 했으며, 그 며칠 후 국내에서도 중학생의 웜바이러스 유포로 사이버업계가 그 뒤처리에 홍역을 치렀다. 그런가 하면 서버를 집단 관리하고 있는 데이콤의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까지 해커가 침입, 우리의 인터넷 환경이 헤커 공격에 무력함을 드러낸 바 있다.

해커 공격의 피해는 웹사이트의 콘텐츠(내용물)를 날려버리거나 보안벽을 뚫고 들어가 핵심 정보를 빼내가는 것이다. 사이버 테러에 대한 경계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가 인터넷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면서 더욱 네트워크에 의존하게 되어 단 한번의 사이버 테러로도 돌이킬 수 없는 대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사이버 테러로 인한 웹사이트 마비는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안보를 위태롭게 하거나 국가기관이나 인터넷기업이 보관한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예기치 않은 피해를 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급속한 속도로 인터넷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반면 사이버 테러에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남북의 군사적 대치상황에서 국가안보망과 통신망 및 치안부서나 국세청 등 중요한 정부전산망, 그리고 원자력연구소 등 산업정보망이 언제 뚫릴지 모른다.

따라서 디지털사회의 발전속도에 맞춰 우리도 이제 종합적인 사이버 테러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닥쳐올 사이버 테러를 막자면 타성에 젖은 기존 조직의 보완같은 대응방식으론 한계가 있다. 범정부적 차원에서 상당한 인력과 체계와 기술을 갖춘 테러 방어망을 구축하는등 종합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