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도는 쌀의 처분대책이 시급해졌다. 정부와 경기도 등 지자체가 누적된 쌀 재고 처리를 위해 소비촉진 등 묘안짜기에 골몰해야 하는 새로운 걱정거리를 안고 있다. 쌀 과잉으로 인한 걱정은 모자랄 때의 그것보다 비교할 바 아니지만 쌀값 하락으로 인한 농가소득 격감이 우려되는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1980년대부터 남아도는 쌀의 소비촉진을 위해 쌀라면 쌀과자 등의 생산을 허용해 왔고 최근에는 쌀 많이 먹기 캠페인을 벌여왔다. 그러나 늘어나는 쌀 재고량에 비해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해마다 줄어 96년 104.9kg, 97년 102.4kg, 98년 99.2kg, 99년에는 96.9kg까지 줄어들었다. 이처럼 쌀 소비량이 점점 줄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청소년과 젊은층의 식생활이 서구식으로 바뀌어 가고, 다양한 쌀 가공 신제품 개발이 미흡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선 이들의 쌀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미질(米質)위주의 정책전환이 필요하다. 이제까지 군부대와 학교 급식용으로 사용하던 2년이상된 묵은 쌀은 과감히 가공용으로 돌리고 군부대와 학교에도 밥맛 좋은 쌀을 공급함으로써 이들이 쌀밥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특히 누적된 재고 쌀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가공식품 개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쌀 활용 비율은 99년의 경우 전체 쌀 생산량의 2.2%에 불과해 일본의 활용률 13%에 비해 크게 낮은 실정이다. 가공식품으로 사용되는 쌀은 대부분 떡과 술을 빚는 주조용으로 연간 80만석이 소요될 뿐이고 일부가 빵이나 과자·엿 등을 만드는데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일본이 이미 70년대에 음료수, 조미료 등 50여종의 쌀 가공품을 개발한 것에 비하면 미미하기 짝이 없다.
쌀 가공업체도 빈약하기 이를 데 없다. 가공업체가 200여개에 불과한데다 대부분 영세하고 생산기술도 낙후돼 신제품 개발을 위한 재투자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음식문화가 바뀌어 가는 젊은층의 식성에 맞추는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이 급선무다. 아울러 아직도 1천만명의 절대빈곤층이 존재하고 결식학생이 16만명에 이르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미 재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길도 복지차원에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