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상봉’ 그래도 추진돼야

정부가 금강산사업 회담 연기를 검토하는 것은 당연하다. 북측이 돈이 되는 금강산관광사업 회담은 하고 돈이 안되는 4차 이산가족상봉은 제멋대로 미루고 나오면 마땅히 대응조치를 취해야 하기 때문이다. 금강산 관광사업은 벌써 남측도 발목잡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형국이긴 하나, 돈 챙기기에만 급급한 정치적 상술에

덮어놓고 끌려갈 수는 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당정이 계산한 소요액만도 4천억원에 이르는 30만t의 식량지원 또한 마땅히 재고돼야 한다.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의 인도주의를 외면한 터에 무작정 인도주의에 입각한 대북 식량지원을 계속 하는 것은 걸맞지 않다. 대화와 교류, 협력은 서로 신뢰가 있어야 가능하다. 합의사항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기 일쑤인 북측의 횡포를 수용 하는데도 한계가 없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래가지고 어떻게 상대를 믿고 의논할 수 있는 것인지 회의를 떨치기가 어렵다.

북측이 밝힌 ‘비상경계 태세의 삼엄한 분위기’란 실로 황당하다. 미국이 당한 테러의 보복으로 대 아프간전쟁이 벌어진 후 경계태세를 강화한 것은 테러에 대비키 위한 것이다. 북측도 잘 알다시피 내년엔 월드컵축구대회가 열린다. 올림픽에 버금가는 큰 국제행사를 앞두고 있다. 비상경계를 강화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경계강화는 북측 말대로 ‘우발적인 사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데도 오히려 도움이 된다면 돼 서울방문에 아무 지장이 있다할 수 없다. 그런데도 ‘살벌한 경계’‘삼엄한 분위기’니 하는 조평통의 과장된 표현이 나온 것은 유감이다.

정부는 강경대처와 함께 북측을 설득하는 노력이 병행되길 바란다. 남북문제는 감정적인 생각이 들어도 감정적으로만 대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도 북측당국은 평화공존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대화상대의 실체이기 때문인 것이다. 북측 역시 내부의 정치적 사정으로 부득이 대화의 판을 깰 수밖에 없다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공연한 구실로 더이상의 피로감을 갖게 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이 정부가 그동안 남북협력을 위해 북측에 쏟은 성의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 결과 보여주는 북측 자세가 겨우 이 정도라고는 믿고 싶지 않다. 4차 이산가족 상봉일정이 조속히 다시 잡히기를 기대하면서 5차 남북장관급회담 합의사항이 제대로 이행되기를 촉구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