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살려야 한다

지방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다. 경제불황이 계속되면서 지방대 출신의 취업률이 극히 저조해 지방의 우수 고교생들이 대부분 지방대를 외면한 채 서울로 진학하고 재학생들도 잇따라 빠져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지방대생을 평가 절하하는 기업과 사회의 인식도 여전해 지방대의 입지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인문계열 졸업자에 대한 채용의뢰가 전혀 없는 상태로 기초학문 분야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고 있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도내 대학 취업정보센터에 따르면 올 하반기 기업의 대졸자 신규채용 인원은 7만3천여명인데 비해 취업희망자는 43만명으로 군입대나 대학원 진학 등을 고려해도 취업은 5명중 1명에 그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데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들의 대기업 취업이 어려워짐에 따라 이들이 견실한 중소기업으로 몰리면서 지방대 졸업자들의 취업문은 더욱 좁아지고 있다.

그나마 취업정보센터에는 인문계열 졸업자의 채용의뢰는 전무한 상태다. 이때문에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을 위해 다시 전문대를 다니는 기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결과 지방대의 기초학문 분야 학과에는 지원자가 전혀 없어 폐과 위기에 몰려있다.

그러나 인간교육의 기초적 학문에 속하는 문학·역사·철학(文·史·哲) 등 인문학이 존폐위기에 이른 것을 가벼이 보아 넘겨서는 결코 안된다. 아무리 첨단과학과 기술이 중시되는 21세기라 해도 기초과학으로서의 인문학은 중시돼야 마땅하다. 그럼에도 1960∼70년대엔 국가 개발 논리에 밀렸고, 최근 들어선 정보화·세계화 바람에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이같은 지방대의 위기는 지방의 위기로 이어진다. 나라의 균형발전을 위해 지방대 육성은 중요하다. 지방대를 충실히 육성해 인재가 배출되고 그들이 지방 발전을 위해 일하게 되면 지역이 활성화되고 침체에 빠진 지역경제를 되살릴 수 있다. 그동안 교육부는 여러 차례 지방대 육성책을 내놓았었다. 하지만 개별대학 지원 등 소극적인 대책이 대부분이었고 이것도 시간이 흐르면서 흐지부지되곤 했다.

당국은 이제 지방대 졸업생의 일반기업 차별을 금지하는 획기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각종 국가고시에 지역인재 할당제를 검토해 보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또 경제·기술발전도 중요하지만 대학 지성의 핵심인 인문학의 토대 확보가 국가발전을 위해서도 긴요함을 인식하고 긴 안목에서의 인문학 육성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