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가 생화학 테러 공포로 떨고 있다. 지난 5일 미국 플로리다주의 신문사 임원이 흡입형 탄저병에 감염되어 사망한 이래 주요 언론기관 종사자나 출입자들이 탄저병 감염위험에 노출되고 있는가 하면 미국 상원 오피스 빌딩에 있는 원내 총무실로 배달된 우편물에 탄저균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빌딩 전체가 폐쇄되고 또한 빌딩 출입자에 대하여
감염 여부가 검사되는등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생화학 테러 공포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으나 국민들은 테러 가능성에 대하여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 이미 일부 빌딩에서는 배달된 우편물에 백색 가루가 묻어 있어 혹시 탄저균이 아닌가 의심이 되어 특별 조사반이 투입되고 우편물 배달 업무가 중단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심지어 마라톤 대회를 열면서 길 안내용으로 뿌린 밀가루에 놀란 시민의 신고로 경찰이 출동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물론 한국은 미국과 같이 생화학 테러의 직접 당사국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테러 보복 전쟁이 확산되면 한국도 전쟁에 휘말릴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생화학 테러의 예외라고 단정할 수 없다. 더구나 현재 알려진 바로는 아프가니스탄의 카불에는 탄저균 배양시설이 설치되었다고 하기 때문에 전쟁의 확산 여부에 따라서 생화학 테러는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을 지원하고 있는 이라크 등이 전쟁에 가세할 경우 이라크는 상당한 양의 생화학 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정부는 생화학 테러에 대한 방지책을 다각적으로 강구해야 된다. 실제로 대다수 국민들은 생화학 무기는 말로만 들었지 그 위험성에 대하여 잘 알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우선 생화학 무기에 대한 국민적 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민방위훈련 등에서 이를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되며 특히 실전에 버금가는 훈련을 해야 된다.
정부는 생화학 테러에 대한 국제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외국에서 배달되는 우편물에 대한 특별 검사를 실시해야 됨은 물론 지하철 역사와 같은 다수 인원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순찰은 물론 수상한 우편물에 대한 신고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국민의 일상적 생활이 생화학 테러의 공포 때문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정부는 최선의 대책을 강구해야 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