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가 인력부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교원정년 단축 이후 심각한 교원부족현상을 보이고 있는 일선 학교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행정직마저 크게 모자라 교사가 행정업무 등 과중한 잡무에 시달리고 있는 것은 가볍게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이런 현상은 특히 학교와 학생수가 전국 시·도중 가장 많은 경기지역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매년 수십개의 학교가 신설되는데도 정부의 공무원 정원동결 조치로 행정직을 배정받지 못해 99년 이후 3천126명이 부족한 상태다. 전국 최고 수준이다. 경기지역의 학교(3천193개교)와 학생수(174만명)가 서울(2천225개교·162만명)보다 훨씬 많은데도 오히려 행정직원(7만6천명)은 서울(8만1천454명)보다 적고, 행정직 1인당 학생수(224명)가 전국평균(144명)보다 많아 지역적 차별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로 인해 행정직원들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수업준비에 충실해야 할 교원들도 늘어나는 잡무처리에 상당한 시간을 빼앗기고 있다. 특히 직원을 신규배정받지 못하면서 소규모학교(6학급 이하)의 일반직을 신설학교에 배정함으로써 일선 학교의 인력난은 점점 심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열악한 근무여건에서는 짜임새있고 알찬 교육을 기대할 수 없다. 교습준비에 몰두해야할 교사들이 잡무처리에 시달리고 의욕을 잃으면 수업의 질은 그만큼 떨어지고 결국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밖에 없다.
교사는 교육의 주체다. 그것은 교육의 성패가 교사들에게 달려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국가발전의 주춧돌이 교육일진대 교사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한 교사들이 격무와 잡무에 시달리는 열악한 근무여건으로 교직에 대해 회의를 느낀다면 우리 교육의 전망은 암담해질 뿐이다.
따라서 교육의 주체로서 교사는 그 중요한 역할에 맞먹는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누려야 하며 긍지와 권위를 지녀야 마땅하다. 그러자면 우선 일반직이 해야 할 행정업무와 잡무에 시달리는 전근대적 근무환경을 하루속히 개선시켜야 한다. 교사들이 교직을 천직으로 알고 헌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줘야 한다. 정부는 공무원 정원동결이라는 경색된 정책만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인구집중으로 학교와 학생수가 급증하는 수도권의 특수성을 감안, 인력수급에 신축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교사들이 잡무에서 해방될 수 있게 교육당국의 현명한 조치를 촉구해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