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가 성공하려면

문화관광부에서 파악한 전국의 지역축제는 480여개에 이른다, 여기에 일회성 이벤트까지 합하면 연간 800여개의 지역축제가 열린다. 또 지역 마을 단위의 소규모 축제까지 더하면 1천여개가 넘는다.

사람이 모여 사는 사회에서 함께 축하하고 기념할만한 일이 많다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전국 각처에서 열리고 있는 지역축제는 주민들이 진정으로 즐기는 축제라기보다는 행정기관의 선심성 짙은 전시적 행사가 훨씬 더 많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10월중에만 벌이는 지역축제가 16개 시·도에서 552건에 이르는데 경기도의 경우, 150개의 지역축제가 벌어지고 있다. 이들 축제들은 대부분 자치단체마다 지역문화 발전과 자치예산을 확보한다는 명목으로 비슷한 내용으로 열린다. 그러나 일부 행사는 과연 축제를 열어야 하는 것인지 내용에 의구심이 든다. 자치단체장이 차기 선거를 의식한 인상이 짙은 관주도 형식의 행사가 축제라는 이름으로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축제가 난립하고 있는 이유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자치단체장의 선심행정이다. 지역주민을 자연스럽게 동원할 수 있는 이벤트성 행사는 단체장의 치적 홍보와 얼굴을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올 가을에는 내년 6월 실시예정인 지방선거에 대비, 각 지자체마다 많은 행정력을 기울였음이 여실히 드러난다. 올 가을의 지역축제를 합법적인 선거운동의 마지막 기회로 보고 온갖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축제가 전시성 행사로 예산만 낭비한다는 여론에서 벗어나려면 우선 지방 고유의 특색이 있어야 한다. 지역특색을 살린 문화예술과 독특한 풍물을 주 내용으로 삼아야 하는 것이다. 경기도 이천·여주·광주의 도자기축제, 충남 서천의 전어축제, 전남 함평의 나비축제, 전북 무주의 반딧불이축제 처럼 특색이 있어야 한다. 지역축제는 지역문화와 지역자치, 그리고 지역 주민의 정서가 어우러질 때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지역축제는 관 주도 형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문화원, 예총 등을 앞세우고 실제적으로는 지자체가 행사내용을 결정, 간섭하는 관례가 없어질 때 지역축제는 성공할 수 있다.문화원이나 예총 등 문화예술단체도 이제는 관 주도적인 행사참여에 신중을 기해야 할 시기라고 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