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도내 상당수 지자체장과 지방의원들이 당적 바꾸기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우리 정치와 정치인의 현주소를 여러모로 생각하게 만든다. 특히 10.25 국회의원 재·보선에서 민주당이 참패하자 당소속 지자체장과 지방의원들이 당선에 유리한 당을 좇는 말 갈아타기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은 기회주의적 철새 정치의
본보기로 정치도의상 상식을 벗어나는 일이다.
물론 당 공천을 받아 당선된 현직 지자체장과 지방의원들이 차기 선거때 당적을 옮긴다고 해서 법에 저촉되는 것은 아니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헌법상 ‘정치활동의 자유’나 ‘양심의 자유’에 따라 당적을 바꾸겠다면 그것을 막을 법은 이 세상에 없다. 그야말로 그것은 각자의 자유일지 모른다.
그러나 그들이 내세우는 이유가 정치적 소신이 아니라 오직 당선에 유리한 당을 찾아가는 당적변경이라면 이는 정치도의는 고사하고 인간의 상도(常道)를 모르는 세속적 처신이다. 정치철학도 소신도 없고, 지조도 염치도 팽개치려는 이런 사람들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 그동안 중앙 정치인들이 눈앞의 이익만을 좇아 철새처럼 세(勢)를 따라 이리저리 당적을 바꾸는 일이 많아 불신을 받아온 터다. 그런 철새 정치인들을 지방정치인들이 또 닮는다면 가뜩이나 불신받는 정치를 더욱 비하시키고 국민들의 정치혐오감을 증폭시키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정당들도 능력있는 인물을 내세워 국민의 선택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당선 가능성만을 보고 사람을 원칙도 없이 끌어모은다면 또한 국민들의 빈축을 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 식으로 사람들이 이합집산 하다보면 여당이건 야당이건 정체성의 구분이 없어지고 주의 주장이 무엇인지 갈피를 잡지못하게 될 것이다.
어제까지 똑같은 신념과 동지애를 나누며 형님 동생하던 사람들이 오늘은 각기 다른 당명을 등에 지고 사생결단을 하겠다고 으르렁 댄다면 유권자들은 헷갈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소신과 지조도 없는 사람이 원대하게 지역사회와 주민을 위해 이런 저런 일을 하겠다고 떠들어 댄들 유권자들이 얼마나 믿어주겠는가.
지역사회의 일꾼으로 봉사하겠다는 사람들이 요행을 바라며 오직 당선에 유리하게 보이는 정당 주변을 기웃거리는 것은 정치의 정도(正道)가 아니다. 선거때마다 자신들이 외쳐온 ‘뚜렷한 신념’‘흔들림 없는 소신’과도 거리가 멀다. 어떻게 처신하는 것이 옳은가를 반성하고 자숙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