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비조직력은 향상, 골결정력은 여전한 숙제.’9일 미국과의 국가대표팀간 경기(A매치)에서 1대0으로 승리한 것을 끝으로 거스 히딩크(55)감독이 한국축구대표팀 지휘봉을 잡은 첫 해가 막을 내렸다.
올 1월초 지휘봉을 잡은 히딩크감독은 국내팬들의 전폭적인 신뢰와 뜨거운 격려를 받으면서 한국축구와 함께 했다.
때로는 빨리 베스트일레븐을 확정짓지 않는다는 비판도 일었지만 “목표는 내년 월드컵 본선”이라며 약 60명의 선수들을 테스트하는 등 숨은 진주를 찾아왔다.
히딩크감독이 대표팀을 조련한 이후 가장 눈에 띄는 성과는 수비의 조직력이 크게 향상됐다는 것과 플레이 속도가 빨라졌다는 점이다.
한국축구의 가장 고질적인 문제점을 수비에서 찾은 히딩크감독은 현대축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포백수비가 정답이라며 포백을 고집했었다.
지난 9월 나이지리아와의 평가전때까지도 포백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선수들은 많은 허점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차츰 대응능력을 키워나갔고 적어도 4명이 ㅡ자로 수비라인을 구축하는 데 대한 부담은 털어 버릴 수 있었다.
아울러 한국의 전형적인 스타일인 스리백의 완성도도 높여가 상대의 전술에 따라 수비전술을 유동적으로 바꿀 수 있게 됐다.
끊임없이 신예들을 테스트한 결과 가능성있는 선수들을 다수 발견했고 이에 따라 팀이 전반적으로 젊어진 것도 눈에 띄는 성과다.
이천수, 최태욱, 송종국 등이 대표적인 케이스로 이들은 팀 컬러를 ▲월등한 체력을 앞세워 쉼없이 뛰고 ▲빠르게 공수를 전환할 수 있는 팀으로 바꿔놓았다.
반면 새해 벽두부터 시작되는 내년훈련에서는 시급히 보완해야 될 숙제도 많다.
짧은 시간에 골 결정력을 높이고 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간 간격을 더 좁히는게 핵심.
골 결정력은 기본기와 관련돼 쉽게 치유될 수 없긴 하지만 잦은 실전을 통해 공격수들이 스스로 풀어나가야 할 부분이다.
포지션간 거리를 좁히는 것은 상대공격을 압박하는 동시에 경기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는 필수적이어서 연습의 대부분을 투자해야 할 전망이다.
또 탁월한 키커 발굴이나 절묘한 세트플레이 개발 등도 결코 게을리할 수 없다./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