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에 덕흥서림에서 간행한 ‘임오군란기(壬午軍亂記)라는 작자·연대미상의 실기소설이 있다. 임오군란의 전말을 여섯 단락으로 나누어 실기체 형식으로 기록했다. 대원군의 섭정으로 인하여 부국강병에 힘입어 군기가 일신되지만, 민씨(閔氏)일족이 정권을 잡으면서 차츰 국고가 탕진되어 군사들의 봉급도 주지 못할 형편이 된다. 일본과 통상을 체결하여 공사가 거주하게 되고 정부는 일본의 제도를 모방하게 된다.
1882년 임오년(고종 19)6월9일 조정이 밀린 군량을 배급하면서 썩은 쌀에 모래까지 섞어 배급하게 되자 화가 극에 달한 군사들은 특히 창리(倉吏)가 민씨일가 민겸호의 하인이라는데 격분하여 창리를 죽이고 난을 일으킨다. 민겸호가 군사들의 처형을 명하자 이들은 대원군의 힘을 빌려 일본공사관을 습격, 공사 하나부사는 인천으로 피란하고 민비는 상궁복장으로 변복하여 충주 장호원 산중에 숨는다. 군사들은 민씨일족을 해치고 영의정이며 대원군의 형인 흥인군도 죽인다. 민비는 역관 변원규를 경성에 보내 왕에게 청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도록 한다. 청나라는 위안스카이 등의 인솔로 남양만에 상륙한 후 대원군을 청나라로 잡아가고 조선에 군대를 주둔시킨다. 청나라가 일본의 세력을 제어하자 일본은 군란중 입은 피해보상을 요구하게 되고 공사관 보호를 구실로 군대를 끌어들인다. 군란이 민왕후와 대원군의 싸움으로 그치지 않고 대원군이 환란을 수습한 뒤에도 민왕후가 청나라를 끌어들여 자망자멸(自亡自滅)을 자초한다. 임오군란의 시말을 흥미 본위로 기술한 이 작품은 말미에서 “임오군란이 대원군의 진무(鎭撫)로 이미 평정되었거늘 민파(閔派)들은 무슨 까닭으로 청병(淸兵)을 불러 왔는고?”라고 했다. 작가가 대원군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기술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요즘 KBS-TV에서 방영중인 사극 ‘명성황후’가 임오군란의 격변기를 그리고 있다. 명성황후가 군란을 피하여 장호원으로 피신했다. 사실(史實)과 차이가 있다고 하여 시비가 있는데도 인기는 여전하다. 대원군이 1882년 7월 13일 청군에 의하여 강제로 납치돼 남양만의 마산포(馬山浦)에서 청국으로 이송되며 대원군 정권은 무너지지만 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공과는 아직도 분분하다.
2002년 임오년의 역사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淸河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