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시설 개선 시급하다

경기도 특히 북부지역의 노인전문요양시설 및 양로시설 대부분이 서비스가 너무 소홀하다고 한다. 경기도 제2청이 이달초 경기북부지역에 있는 노인복지시설 10개소를 점검한 결과 7개소가 인건비 절감을 이유로 간호사와 물리치료사, 생활보조원 등을 적정하게 배치하지 않았다고 하니 노인들이 겪는 고충이 눈에 선하다.

게다가 회계관리를 하는 총무도 없이 후원금을 목적란에 기입하지 않았는가 하면 운영위원회조차 구성하지 않은 복지시설도 있었다. 간호사와 물리치료사를 아예 채용하지 않아 수용노인들의 건강검진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았고 노인복지법 기준에 미달된 생활보조원을 둔 곳도 있어 ‘노인복지 ’라는 말이 실로 무색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노인복지 및 노인의료시설이 열악한 것은 치매노인의 경우 특히 심하다. 경기도내에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1999년도에 48만8천여명이었고 20000년에는 52만5천여명으로 해마다 증가, 도 전체 인구 920여만명의 5·7 %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무관심 속에 특히 치매를 비롯한 각종 노인성 만성질환자와 심신장애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떨어지는 이들을 위한 시설은 증가율에 크게 못미치는 실정이다.

한국치매가족협회에 따르면 도내에는 최소 1만4천900여명에서 최대 5만3천여명의 치매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들을 치료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턱없이 부족헤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현재 도내에는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노인전문병원 2곳, 민간요양원 2곳 등 4곳에 불과하고 그나마 북부지역에는 한 군데도 없다. 더구나 이들 시설 이용비용이 너무 비싼 것도 큰 문제점이다. 건강보험을 적용하더라도 도립병원의 경우 월 120만원, 민간 치매요양원은 150만원 수준이며 기초생활보장 1종 대상자라 하더라도 월 40만원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서민층이 아니라하더라도 보통 부담이 가는 비용이 아니다.

경기도가 내년에 수원과 안성에 200명 수용 규모의 치매전문요양원을 세우고, 안양·의정부·동두천시에도 국비와 도비로 350명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치매전문요양원을 건립할 계획이지만 턱없이 모자라기는 마찬가지다. 따라서 민간차원의 시설확충도 필요하지만 비용이 저렴한 국가·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노인복지·노인의료시설이 계속 건립돼야 한다. 본란이 전에도 강조한 바와 같이 도시와 농촌지역의 모든 보건소의 첨단적인 시설 확충과 의료직 증원은 그래서 더욱 절실한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