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선거병 도지나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벌써부터 지방정가에 매우 우려스러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잇따라 터지는 권력형 비리의혹 사건들로 가뜩이나 정치권과 사회가 어수선한데 예상 경쟁자를 헐뜯는 악의적인 흑색선전이 난무, 사회분위기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선거전이 본격화 되면 상호비방 양상은 갈수록 기승을 부릴 것이 뻔하다.

후유증이 심화되기 전에 초장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

상대를 흠집내는 악성 루머들이 판을 치는 데는 예비 후보 진영의 책임이 크다. ‘어느 지역의 시장 출마예정자는 암에 걸렸다’는 건강 악화설에서부터 ‘누구는 지구당 위원장이 돈을 받고 공천을 약속했다’ 또 ‘어느 출마예정자는 비리가 포착돼 사법기관의 내사를 받고 있다’는 등 상대방을 흠집내고 음해하는 비방 내용이 각양각색이다.

선거가 아직도 4개월이나 남아 있는 상황에서 벌어지고 있는 치졸하고 낯뜨거운 저질 비방이 도를 넘어서 시정잡배 뺨치는 내용들이다. 어쩌면 이렇게도 선거 때마다 도지는 고질병이 치유되지 않고 되풀이 되는지 안타깝다. 선거문화 고양과 지방자치의 착근을 위해 단체장이나 지방의원 선거에 나서려는 사람들은 앞으로 이러한 비방 흑색선전을 중지하고 지역발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놓고 경쟁해야 한다.

지금 국민은 각종 게이트 사건들로 정치권에 대한 실망과 함께 정서적으로 크게 상처받고 있다. 이런 때에 지방정치권 마저 구태의연하게 예비후보 헐뜯기로 지역민을 더욱 짜증나게 만드는 것은 지역을 위해서나 선거문화 발전을 위해서나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특히 이번 6월 지방선거는 대선의 전초전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의미가 크다. 게다가 3기 지자제의 성공적 정착 기틀을 다지게 될 축제이기도 하다. 정치적 의미 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도 지자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공명정대한 선거풍토 조성은 매우 긴요하다. 그래서 6월 지방선거는 지자제의 정착과 함께 나라의 진운이 걸려 있는 중요한 정치행사가 아닐 수 없다. 공명선거 실천없이 지방자치제가 뿌리를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정치개혁의 첫 출발점이 선거에 있다면 과거의 선거 악폐들은 이제 철저히 불식시켜야 한다. 상대방을 음해해서 당선된들 그 사람이 진정한 지역민의 심부름꾼이 되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이 되려는 사람들은 이제라도

지역민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선거가 되도록 몸가짐을 진중히 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