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7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악의 축’발언이후 미국의 대북정책 기조가 강성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 외교채널을 총동원해 대화를 통한 해결과 한반도 안정 수호를 위한 막후 접촉에 나섰다.★관련기사 3면
특히 부시 대통령의 방한시 강경발언으로 북미, 남북관계를 더 악화시켜선 안된다는 판단아래 방한시 발언수위를 완화하고 방한전까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미국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는 점을 최대한 미국측에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재외공관장회의 참석차 일시귀국한 양성철 주미대사를 예정보다 하루 빨리 이날 귀임시켜 오는 20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백악관,국무부측과 긴밀한 사전조율에 나서도록 했다.
양 대사는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는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를 바탕으로 반드시 대화를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김대중 대통령의 메시지를 미국측에 전달하고 북한을 대화로 끌어내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내 일각에서는 “9·11 테러사태 이후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방지에 역점을 두고 있는 미국의 대북정책이 변화할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한편 미국은 이날도 대북압박 발언을 이어가 데니스 블레어 미 태평양사령부 사령관은 한미협회 초청으로 서울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북한은 미사일 거래나 마약거래 등에 개입함으로써 세계에 잠재적인 위협이 되는 국가”라고 규정했으며 조지 테닛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상원 정보위에서 “평양이 한반도를 북한의 통제하에 통일하겠다는 목표를 포기했다는 증거를 찾아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반면 평양에서 중국 베이징을 거쳐 6일 서울에 도착한 제임스 호어 주(駐)북한 영국 대리대사는 “북한이 부시 미대통령의 대북정책을 ‘적대적’이라고 인식하면서도 차분한 가운데 관리들은 부시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군사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고 소개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