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를 맞은 도내 고교들이 예년과는 달리 몹시 어수선하다. 학급당 학생수를 35명으로 줄이는 교육여건개선사업의 무리한 추진으로 벌어진 교실증축 공사가 아직 마무리 되지 않아 공사장 소음이 곳곳에서 요란하다. 게다가 평준화지역의 고교배정이 컴퓨터 프로그램 오류로 전면 백지화되고 재배정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엄청난 혼란과, 앞으로
있을 전학 등 부작용의 후유증이 학교분위기를 더욱 뒤숭숭하게 하고 있다.
지금 학급당 학생수 조정을 위해 교실 증축공사를 하고 있는 도내 225개 고교 중 공사를 마친 곳은 110개교(51.6%)뿐 나머지는 3월말∼5월말에나 준공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 공사소음에 시달리는가 하면 파헤쳐진 운동장과 곳곳에 쌓인 건축자재 더미 때문에 체육수업을 못하고 통행불편을 겪어야 할 판이다. 일부 학생들은 공사가 끝날 때까지 특수목적실이나 회의실·강당 등에서 수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니 수업이 제대로 될 지 걱정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고교배정 전면 백지화→재배정→학부모 철야농성→교육감 사퇴 등으로 이어진 후유증도 그렇거니와 ‘선 등록 후 근거리 추첨 전학’허용에 따라 빚어질 혼란이다. 외곽에 위치한 소위 기피학교의 학생이 대거 빠져나가는 상황이 벌어지면 평준화의 의미 퇴색은 물론 또 다른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 올해부터 7차교육과정이 시행되는 1학년은 교육과목과 수업방식이 크게 달라져 그에 따른 준비도 철저히 해야 할 때다. 차분하게 준비해야 할 7차교육과정이 어수선한 분위기 때문에 잘 추진될지도 염려된다. 도교육청이 7차교육과정에 따라 중등교원을 신규 발령하면서 중1∼고1에 해당하는 ‘공통사회’교사를 고교에 배정하고, 고2∼고3에 해당하는 ‘일반사회’교사는 중학교에 배정하는 등 전문성과 원칙을 무시하고 배치해 그같은 우려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 교육감 보궐선거(4월18일로 잠정결정)까지 겹쳐 이래저래 교육계는 새학기부터 어수선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분위기 때문에 학생들이 피해보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교육당국은 일선 교육현장에서 학생 수업이 소홀해지거나 부실해지지 않도록 장학기능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학교별로 특수여건을 참작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세심한 배려와 지도가 필요한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